문화·스포츠 라이프

‘국민건강지수’ 악화일로…8년새 5.8% 하락

2009년 0.57점서 2016년 0.54점으로

만성질환·정신건강·인구고령화 영향

울산·전남 고흥 1위…강원·평창 꼴찌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 수준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국민건강지수’가 최근 8년새 5.8%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지수는 1점 만점에 0.54점에 그쳤다.

서울대 경제학부 홍석철 교수가 최근 한국건강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국민건강지수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이 지수는 2009년 0.57점에서 2016년 0.54점으로 8년새 5.8% 하락했다. 국민건강 이 악화되고 있는 셈이다.

국민건강지수(10개 영역, 29개 지표)는 관련 전문가 15명이 건강보험공단, 통계청, 질병관리본부, 삶의질학회 등에서 각기 집계하고 있는 국민건강지표들을 통합해 개발했다.

광역시도 중 2016년 국민건강지수 1위인 울산과 꼴찌인 강원의 10개 영역별 비교. 식생활 및 비만, 의료이용, 사망률, 질병이환 및 사고 영역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광역시도 중 2016년 국민건강지수 1위인 울산과 꼴찌인 강원의 10개 영역별 비교. 식생활 및 비만, 의료이용, 사망률, 질병이환 및 사고 영역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10개 영역에선 질병이환 및 사고, 건강행태, 정신건강, 인구변화 등의 부문에서 건강 수준이 지속해서 악화됐다. 29개 지표에선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 음주·흡연 등 건강행태 악화, 인구 고령화 등 부문에서 전반적인 건강 수준 하락 추세가 뚜렷했다. 반면 의료기관 접근성과 건강검진 진료율 등은 개선됐다.


2016년 국민건강지수 하위권인 제주(0.514), 강원(0.516), 충남(0.523)은 상위권인 울산(0.581), 대전(0.561), 대구·경북(0.558)보다 최대 9.5% 낮았다. 10개 영역 중에선 질병이환, 의료이용, 식생활 및 비만 영역에서 큰 차이가 났다. 지수가 가장 낮은 강원은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비만율 등 만성질환 관련 유병률이 높고 의료기관 접근성·이용률은 크게 떨어졌다.

관련기사



전국 229개 시군구별 격차는 광역시도보다 훨씬 컸다.

최하위권인 강원 평창군(0.459), 충북 괴산군(0.463), 경기 동두천시와 전남 목포시(0.469)는 최상위권인 전남 고흥군(0.617), 경북 경산시(0.615), 울산 동구(0.612), 대전 유성구(0.608)보다 지수가 최대 25.6% 낮았다.

홍 교수는 “이번 결과는 우리나라 보건의료 부문의 비효율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향후 국민건강지수와 정부·지자체의 보건의료 지출 등을 연계해 국민건강 증진에 필요한 핵심 요인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국 시군구 국민건강지수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