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이통사 5G 성능 확 끌어올린다

통신품질 높이는 기술구축 속도

SKT '디바이스 테스트 랩' 개소

LG는 '광선로 감시시스템' 개발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새로 개발한 광선로감시시스템을 시험하고 있다./사진제공=LG유플러스LG유플러스 직원들이 새로 개발한 광선로감시시스템을 시험하고 있다./사진제공=LG유플러스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지난 1일 세계 최초 5G 상용화 서비스를 내놓은 이후 5G 확산을 위한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통사들은 일본 등 주요국가보다 우리나라의 5G서비스가 2년 가량 앞선 만큼 글로벌 5G 생태계를 선도해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각오다.

SK텔레콤이 4일 5G단말기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5G 디바이스 테스트 랩(Device Test Lab)’을 경기도 성남시 분당사옥에 개소했다고 밝혔다. 5G 디바이스 테스트 랩은 300㎡규모로 계측장비·실험실·회의실 등을 갖추고 전문인력이 상주하는 테스트 베드다. 실험실 안에는 5G 기지국, 중계기와 전파를 테스트할 수 있는 계측기, 전자파 측정 기기 등이 두루 갖춰져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5G용 단말기들이 증가하고 있어 까다로운 테스트를 통해 최고의 통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테스트 랩을 신설하게 됐다”며 “테스트베드가 25cm 두께의 강판으로 된 전파 차폐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외부 주파수 신호를 완벽히 차단해 정확한 테스트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과 단말 제조사는 5G 단말기를 출시하기까지 이곳에서 주파수 적합성과 인터페이스 검증 등 약 1만 가지 항목을 테스트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LG유플러스는 유선 광선로를 관리하고 장애 원인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통합형 광선로감시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광선로의 손실·거리 등을 측정하는 광섬유 측정기능(OTDR)과 광신호를 파장별로 분석해 품질을 측정하는 기능(OPM)을 제공한다. 특히 5G 기지국과 중계기간 구간은 물론 유선 기간망에도 동시에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광선로 감시기술은 광섬유 측정기능(OTDR)을 기반으로 광 케이블의 단선 지점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에 불과했다. 반면 새로 개발한 통합형 감시시스템은 최대 16만 개의 광 케이블과 광파장을 동시에 감시해 광선로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특징을 지녔다. 이에 따라 5G망 기지국 장애 발생시 광선로 단선, 선로 품질저하 또는 기지국 장비 문제를 즉시 파악해 망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는 중소기업 코위버와 함께 개발한 이 시스템을 5G 네트워크 구간에 적용할 예정이며, 국내 제조사와 함께 망품질을 위한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