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올 겨울 평년보다 기온 높아”…정부 “전력 예비력 1,100만 KW 내외, 수급 자신”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겨울 난방 수요에도 전력 예비력이 1,100만 KW 이상 확보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평년 겨울보다 기온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지난해 겨울과 올해 여름 전력 수급을 낙관했다가 예비율이 한자릿수로 떨어졌던 만큼 한파 발생 가능성을 대비해 수요감축요청(DR) 등을 실시하기로 했다.

6일 이낙연 국무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0회 국정현안점검 조정회의를 주재하며 이 같은 내용의 겨울철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을 심의·확정했다.


이 자리에서 산업부는 올 겨울 최대전력수요가 8,800만kW 내외일 것으로 내다봤다. 최저기온이 -11℃인 혹한 가정시에는 9,160만kW 내외로 예상됐다. 다만 공급능력은 1억322만kW를 확보해 예상치 못한 한파 발생시에도 예비력은 1,100만kW 이상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예상치도 못한 한파가 발생하면 전력수요가 9,340만kW까지 증가할 수도 있으나 발생확률이 0.5%로 매우 낮고 발생하더라도 예비력은 900만kW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관련기사



전력수습 전망이 지난해 겨울과 달라진 점은 우선 최대전력수요 전망치를 ‘범위’를 두고 선정했다는 점이다. 아울러 기온이 급격하게 낮아질 가능성을 전제로 전력수요 전망치를 제시한 것도 달라진 점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겨울과 올해 여름 기온은 기상청의 전망을 벗어났다”며 “이에 대한 대비책”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전력수요와의 오차 가능성을 줄여 탈원전 논란 등을 피하겠다는 의도다.

아울러정부는 오는 10일부터 내년 2월22일까지를 ‘전력수급 대책기간’으로 지정하고 수급상황을 집중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력구를 비롯한 20년 이상된 열 수송관과 가스배관 등 지하 에너지시설에 대해 우선적으로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또 발전기 고장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수요감축요청(DR), 석탄발전기 출력상향 운전, 전압하향 조정 등의 방법을 통한 추가예비자원 총 728만kW도 확보해 필요시 예비력 수준에 맞춰 활용키로 했다.
/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