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전 부총리는 이날 공개한 이임사에서 “경제상황이 녹록치 않습니다. 어려움은 상시화될 것”이라며 “인기 없는 정책을 펼 수 있는 진정한 용기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그러나 기획재정부, 나아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경제에 있어 정치적 의사결정의 위기를 극복해야만 가능하다. 기득권을 허물어야 하고 대립하는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정치권이 중심이 돼 언론과 노동조합, 대기업, 지식인들이 동참하는 사회적 대타협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소신을 언급한 것이나 정치권의 책임있는 결단을 지적한 부분은 최저임금과 소득주도성장을 놓고 갈등을 빚어온 청와대를 향한 메시지로 읽힌다는 게 정부 관계자들의 해석이다. 후배들을 위한 당부에 “시장에 일관된 메시지를 줘야 한다”는 것을 첫손에 꼽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재인 정부 초 법인세 인상에 유보적이었던 김 전 부총리는 이를 스스로 번복해야만 했다.
정치권에서 흘러나오는 자유한국당 영입설은 부인했다. 그는 “여러 사람이 물었지만 분명히 말하는 것은 문재인 정부의 초대 부총리라는 점”이라며 선을 그었다.
임기 중 아쉬었던 부분으로는 일자리와 소득분배를 들었다. 보람있던 일로는 혁신성장을 의제로 설정한 일과, 한중 통화스와프나 환율협상 등 대외변수에 적절히 대처했던 일, 구조조정 문제를 나름대로 깔끔히 마무리했던 일을 꼽았다. 김 전 부총리는 “(퇴임 후) 평범한 소시민으로 돌아가며 특별히 계획하는 일은 없다”며 “유쾌한 반란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세종=김영필기자 susopa@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