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제프리 시 '조선교류' 대표 "아세안 발전상, 北에 좋은 롤모델"

신남방정책 세미나서 강연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의 다양한 경제 모델이 북한의 발전에 좋은 본보기가 될 것입니다.”

싱가포르의 대북 민간교류단체인 ‘조선교류(Chosun Exchange)’의 제프리 시(사진) 대표가 12일 “싱가포르의 경우 북한에 선진국이자 경제적 ‘롤 모델’로 인식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산하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가 개최한 ‘신남방정책과 한·아세안 경제·안보 협력 강화’ 국제 세미나에서 시 대표는 “북한이 아세안을 일관되고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주체로 인식한다”며 “남북한 사이의 결속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세안이 남북 경제협력 과정에서 중립적인 채널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조선교류’는 북한에 자본주의식 경제 시스템을 전파하고자 활동해온 비정부기구(NGO)다. 시 대표는 “북한이 아세안의 상당수 국가와 수교를 맺는 등 상대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이어온 만큼 아세안이 남북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할 여력이 크다”며 “한국은 아세안 국가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제도적·외교적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대표는 이어 “이 문제를 두고 한국과 아세안이 ‘윈윈’하는 다자협력을 만들어내도록 정규 채널을 가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쩐꽝민 베트남 동북아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북한의 경제개혁 영향 요인 분석’을 주제로 한 연설에서 “서방 국가에서 교육받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경제나 사회·문화 분야에서 선대보다 훨씬 진취적인 사고를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하자원 등을 비롯해 건설·교통·인프라 등 잠재적 경제 발전 요소가 다양하다”며 “개발이 필요하다는 북한 내부의 압력도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현철 신남방정책특위 위원장과 옹켕용 전 아세안 사무총장, 알라딘 릴로 아세안경제공동체 사무차장 등이 참석한 이번 세미나에서는 한·아세안 간 문화·인적 교류 증진 방안도 제시됐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