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취약차주 100만원 벌어 70만원 원리금 갚아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비율 4.1%P 상승한 162.1%

주요 BIS 회원국중 한국만 DSR 상승

취약차주의 원리금 상환액이 연소득의 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원을 벌면 70만원을 갚는다는 뜻이다. 특히 이들의 대출은 주로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과 비은행 대출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부채 보유 차주만을 대상으로 보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2012년 말 34.2%에서 올해 2·4분기 말 38.8%로 상승했다.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7~10등급)인 ‘취약차주’의 DSR은 67.6%로 전체 차주 평균(38.8%)의 두 배에 달했다.

관련기사



취약차주의 경우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았는데 금리 상승기 채무상환 부담이 급격히 커질 수 있는 셈이다. 취약차주의 신용대출 비중은 43.0%로 비취약차주(23.5%)보다 19.5%포인트, 취약차주의 비은행 대출 비중은 65.5%로 역시 비취약차주(41.5%포인트)보다 24.0%포인트 각각 높았다. DSR이 100%를 넘는 차주는 전체 차주 기준으로 8.4%에 달했다.

올해 3·4분기 말 가계부채는 1,514조원으로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전년동기 대비 4.1%포인트 오른 162.1%로 집계됐다. 소득보다 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뜻이다. 부채 급증으로 주요국보다 한국의 DSR이 훨씬 높았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DSR은 올해 상반기 말 기준으로 12.4%다. BIS 통계는 부채를 보유하지 않은 가구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금융부채 보유 가구만을 대상으로 산출한 DSR보다 낮다. BIS 기준 한국의 DSR은 17개 주요 회원국 가운데 6위에 해당한다. 2008년 이후 상당수 국가에서 DSR이 하락했지만 한국은 0.9%포인트 상승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