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연 7% 투자 매력 상업부동산…“불황오면 금융시스템 흔들 우려”

지난해부터 상업용 부동산 투자 수익률이 예금 금리의 4배 수준을 유지하며 대체 투자수단으로 부각됐지만 부동산 시장 상황 변화로 가격 하락폭이 확대되고 임대소득이 감소하면 금융시스템 안정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오피스와 중대형 상가 투자 수익률이 지난해 이후 6~7%대를 기록하며 예금금리(1%대)를 크게 웃돌았다.


올해들어 3·4분기까지 투자수익률이 오피스는 7.4%로 예금은행 예적금 평균금리(1.8%·신규취급액 기준)의 4배가 넘었다. 중대형 상가도 6.7%로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해에도 투자수익률이 오피스는 6.4%, 중대형상가는 6.7%인데 예금금리는 1.5%였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상업용부동산 거래량과 금융익스포저가 크게 늘었다. 월 평균 거래량은 2015년 2만건에서 2017년 3만2,000건, 올해는 3만1,000건에 달했다. 금융 익스포저는 2015년 말 590조원에서 작년 말 747조원, 올해 9월 말 810조원으로 늘었다.

안정적 임대수익을 제공하는 대형빌딩과 상가 등 공급 물량이 늘고 금융기관은 건전성이 양호한 상업용부동산담보대출을 확대하거나 관련 간접투자상품을 적극적으로 출시, 판매했다.

한은은 금융기관들이 상업용부동산 시장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면서 관련 대출 건전성 관리에 보다 힘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지금은 투자수익률이 높고 관련 금융익스포저 건전성도 양호하지만, 시장 상황이 달라져 가격 하락폭이 확대되고 임대소득이 감소할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