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재무부, 대선 개입 러 공작원 등 무더기 제재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EPA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EPA연합뉴스



미국 재무부가 러시아군 정찰총국(GRU) 전직 장교와 공작원 등을 대거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지난 2016년 미 대선 개입과 국제기구 해킹, 영국에서의 신경가스 공격 등 불법행위에 가담했다는 이유다.


19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이날 미 재무부는 2016년 대선에서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의 e메일 스캔들과 연루된 9명의 러시아 공작원을 포함해 GRU 전직 장교 등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이번 제재 대상에는 2016년 몬테네그로 총선을 앞두고 몬테네그로 정당에 대한 러시아의 금전 지원에 관여한 GRU의 전직 장교인 빅토르 알렉세예비치 보야킨도 포함됐다. 그는 기존 제재 대상이던 러시아 신흥재벌 올레크 데리파스카를 위해 활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무부는 또 2016년 미 대선을 앞두고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온라인 공작으로 선거에 개입하려던 러시아 조직 인터넷리서치에이전시(IRA)의 활동과 관련해 회사 3곳과 개인 2명을 제재 대상에 포함했다. GRU 공작원 가운데 미 대선 개입 시도 혐의를 받는 9명과 2016년부터 올해까지 세계반도핑기구(WADA) 해킹을 시도한 혐의를 받는 4명, 러시아 출신 이중스파이 세르게이 스크리팔 부녀 독살 미수사건에 연루된 2명 등 총 15명도 제재 목록에 올랐다. 그동안 미 재무부는 국제 규범을 무시한 러시아의 광범위한 악의적 활동과 관련해 총 272명의 개인과 기관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한편 미 재무부는 러시아 알루미늄 업체 루살과 모회사인 EN+그룹, 전기회사 유로십에너고(ESE)에 대해 30일 이내에 제재를 해제할 계획이다. 이들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측근으로 알려진 데리파스카가 상당한 지분을 갖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회사로 미 재무부는 세 회사가 데리파스카의 소유권을 축소하기로 약속했다고 해제 이유를 밝혔다. 데리파스카에 대한 제재는 유지할 방침이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