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용산참사 유족 "檢 고위간부, 과거사 재조사 과정에 외압"

“조사 기간 연장하고 조사단원 보강해 재조사해달라” 요구해

‘용산참사10주기추모위원회’ 관계자들이 용산참사 진상조사에 대한 외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용산참사10주기추모위원회’ 관계자들이 용산참사 진상조사에 대한 외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검찰청 산하의 검찰 과거사 진상조사단에 외압 논란이 불거지자, 용산참사 유족들이 대검찰청을 항의 방문해 ‘특정 검찰 고위간부의 관여 의혹’을 제기했다. 용산참사 10주기 범국민추모위원회는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용산참사 특별수사본부에서 수사총괄을 맡았던 검찰 고위간부가 과거사 진상조사단에 외압을 했다는 제보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들은 “어제 김영희 진상조사단 총괄팀장이 조사단에 대한 검찰의 외압을 폭로했다”면서 “폭로에서 언급된 검찰 고위간부의 외압 사례가 용산참사 사건에 대한 것이라는 제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들은 “2009년 용산참사 당시 특별수사본부에는 본부장과 수사총괄, 그 외 17명의 검사와 24명의 검찰 수사관이 있었다”면서 “당시 참여한 상당수 검사가 검찰 고위직에 있거나 전관 변호사”라고 언급했다.


이어서 “어제 ‘민·형사 조치 언급 등 협박을 당했다고 느껴 진상조사단원들이 조사와 보고서 작성을 중단하겠다는 일도 벌어졌다’는 폭로도 나왔는데, 제보에 따르면 이 사례가 용산참사 관련”이라며, 외압 의혹의 중심에는 당시 수사를 총괄한 검사가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추모위는 “용산참사 유족은 이제 한 달 뒤로 다가온 용산참사 10주기(내달 20일)를 앞두고 과거사 조사단 조사결과 발표만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었다”면서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은 조사단 외압을 별도 조사해 진상을 규명하고 관련자를 처벌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들은 “외압으로 인해 조사가 중단되기까지 한 만큼, 과거사 조사단 조사 기간을 연장하고,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조사단원을 보강해 용산참사를 다시 조사하라”고 검찰에 요구했다. 이후 용산참사 유족 6명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문무일 검찰총장과 면담을 요구하며 대검찰청 본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들은 문 총장에게 항의 서한을 직접 전달하겠다며 민원실 입구에서 연좌 농성 중에 있다. /변문우 인턴기자 bmw1017@sedaily.com

변문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