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국 '전대 룰' 개정 초읽기..."이르면 이번주 윤곽 잡힐것"

지도체제 형태가 최대 쟁점으로

현역 '집단' 非현역 '단일' 선호

여론조사 비율 놓고도 의견 갈려

김병준(왼쪽 네번째)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왼쪽 두번째) 원내대표가 지난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 입장하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병준(왼쪽 네번째)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왼쪽 두번째) 원내대표가 지난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 입장하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이 내년 2월께로 예상되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전대 룰’ 개정 초읽기에 들어갔다. 전대 룰이 어떻게 개정되느냐에 따라 후보 간 이해득실이 엇갈리는 만큼 당 소속 의원들의 촉각이 곤두서 있다. 당 일각에서는 이르면 이번주 중에 전대 룰의 대략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최대 쟁점은 ‘지도체제’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단일지도체제)’냐, ‘순수 집단지도체제(집단지도체제)’냐를 두고 당내에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현역 의원이 아닌 김태호 전 경남도지사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단일지도체제를 선호하는 반면 현역 의원들은 집단지도체제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집단지도체제하에서 비(非)현역들은 당 대표로 선출된다고 하더라도 제 목소리를 내기 힘들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단일지도체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고 당 대표 한 사람에게 리더십을 몰아주는 방식이고 집단지도체제는 최고 득표자가 당 대표가 되고 차점자 순으로 최고위원이 정해진다. 한국당의 한 관계자는 “현재 한국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집단지도체제가 7, 단일지도체제가 3 정도로 갈리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하지만 전대가 두 달 남짓 남은 시점에서 지도체제를 바꾸는 것은 당 차원에서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현행 체제를 유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관련기사



당원투표와 국민여론조사 비율을 놓고도 의견이 갈린다. 당내에 세력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거나 계파의 중심에 선 후보들은 당원 비중을 높여야 유리하지만 당내 세력은 약한 반면 대국민 인지도가 높은 후보의 경우에는 국민여론조사 비중이 높을수록 승산이 크다. 비대위 산하 정당개혁위원회는 현행 ‘당원 70%-국민여론 30%’를 ‘당원 50%-국민여론 50%’로 변경하자고 지도부에 제안한 바 있다. 한국당은 오는 26일 의원총회를 열고 당내 의견을 수렴한 뒤 다음날 비대위 회의에서도 관련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