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기부, 내년 中企에 3조6,700억원 지원

정부가 우수 중소기업에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3조7,0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저리로 빌려준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우수 중소기업에 장기 저리로 융자해주는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내년에 3조6,700억원 규모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650억원 줄어든 규모로 새해 1월부터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해 공급된다.

중기부는 내년도 정책 자금 운용 목표로 △우수기술 기업 지원 등 중소기업 중심 운영 △미래성장 분야 지원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 우대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우선 기술이 우수하지만 경영환경 악화 등으로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는 유망 기업을 지원하고, 상환 일정을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자금 신청에 제한이 있는 기업이라도 기술성을 갖추면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이를 위해 외부전문가가를 포함 7인 이내의 특별심사위원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위원회는 부채비율이 높거나 자본잠식에 해당되더라도 기술성 예비평가를 통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우수 기업에 자금을 지원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관련기사



상환에 어려움이 생겼지만 적은 금액일지라도 상환할 의지가 있는 기업에는 소액상환 형태로 상환 기간을 늘려주는 ‘소액 성실 상환제도’도 도입한다. 현재 시행 중인 자율상환제 적용자금은 창업기업자금 전체로 확대한다. 최소 상환 비율은 25%에서 15%로 축소된다.

미래성장 분야도 집중 지원한다. 중기부는 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기술·지역·제조 혁신에 1조2,1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연구개발(R&D)에 성공한 기술을 사업화하는 정책자금을 강화하고 제품 양산을 위해서는 기존 생산설비뿐 아니라 사업장 확보까지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올해 3,300억원이었던 스마트공장 전용자금을 5,000억원으로 확대했다.

올해에 이어 내년에 일자리 창출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3,000억 원 규모의 일자리창출촉진자금을 신설, 창업기금자금 금리(기준금리보다 0.3%포인트 낮은 수준)보다 0.1%포인트 낮은 우대금리를 적용할 예정이다. 신청기업 중 3년 연속 일자리가 증가한 기업에는 평가등급 기준을 한 단계 완화할 방침이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