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문 대통령 “추격형 경제 한계…새 가치 창출하려면 혁신 필요”

국민경제자문회의 마무리발언…“사람에 대한 투자인 혁신 필요”

문 대통령, ‘포용성장 경제활력’ / 연합뉴스문 대통령, ‘포용성장 경제활력’ /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우리가 새로운 가치를 선도적으로 창출해 산업화를 이끄는 단계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한데 안 되고 있다”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선도하려면 필요한 것은 역시 혁신”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민경제자문회의 마무리발언에서 “‘추격형 경제’로 우리가 큰 성공을 거둬왔는데 이제 그 모델로 가는 것은 한계에 다다른 것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추격형 경제에 대해 “지금까지 우리 경제는 어떻든 성공해 왔는데 그 성공을 보면 남이 선도적으로 만든 기술을 우리가 응용하고 또 다른 기술과 결합해서 상용화하고 그것을 제품화하는 능력”이라면서 “우리 국민께서 추격형 경제에 상당히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혁신은 사람에 대한 투자이고, 중소기업 혁신도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혁신 중소기업이 돼야 하고 그게 우리의 과제”라며 “그런데 우리가 도통 못 하느냐, 영 우리가 그런 능력이 없느냐,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요즘 우리 한류·K-팝이 보여주는 창의성을 보면, 우리는 제대로 하면 굉장히 창의적인 능력을 갖춘 민족”이라며 “오늘 말씀해주신 문제의식을 조금 더 키워주시면 좋겠다는 주문을 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자문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늘은 대한민국 산업혁신이 의제로, 아주 시의적절하다. 특히 대한민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방안으로서도 대단히 절실한 과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문 대통령은 “우리 전통 주력 제조산업을 혁신해 고도화하고 그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대단히 절실하며, 앞으로 우리의 미래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우리 경제를 혁신해나가는 것도 대단히 절실한 과제”라고 덧붙였다. 특히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 경제가 요즘 침체·부진(하다는) 얘기들을 많이 듣고 심지어 미래가 잘 보이지 않는다는 우려도 있다”며 “대한민국 경제가 활기를 되찾고 미래를 향해서 열심히 달려갈 수 있는 좋은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산업혁신에 대해 제가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지 않겠다”며 “경제·산업 정책 부분에서 다들 전문가이시라 고수 앞에서 먼저 말씀드리다가 낭패를 볼 것 같기도 하고, 먼저 말씀드리면 혹시 제 얘기에 제약을 받아 자유롭게 논의가 안 될 수도 있기에 오늘은 위원님들 얘기를 듣는 자리로 생각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 경제의 올 한 해를 되돌아보고 내년을 전망하는 시기에 국민경제자문회의 전체회의를 개최하게 돼 아주 기쁘게 생각한다”며 “국민경제자문회의는 지난 1년 동안 우리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거기에 필요한 경제정책 과제들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거쳐 많은 조언과 제안, 좋은 의견들을 보내주셨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특히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사람 중심 경제라는 경제 패러다임의 대전환에 대해서도 방향이 잘 설정되고 안착하도록 현장 목소리도 가감 없이 전달해주셨고 여러 보완 대책도 제안을 해주셨다”며 “정부가 정책을 수립·집행하는 데 아주 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김은비 인턴기자 silverbi20@sedaily.com

김은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