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교통公 임단협 타결...지하철 파업 일단 피했다

노조 총투표 불씨는 남아

서울 지하철 전동차가 운행 중인 모습./사진제공=서울교통공사서울 지하철 전동차가 운행 중인 모습./사진제공=서울교통공사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의 노사임금 단체협약 협상이 27일 잠정 타결되면서 이날 돌입 예정이었던 노동조합의 무기한 총파업은 일단 취소됐다. 노조 조합원 총투표 절차가 남아 있어 파업 불씨가 완전히 사그라든 것은 아니다.

서울교통공사와 노조는 전날 오후3시부터 정회와 속개를 반복하는 마라톤 교섭을 벌여 이날 오전6시50분 협상 잠정합의안에 서명했다. 지난 10월16일 임단협을 시작한 지 두 달여 만이다.


잠정합의안 주요 내용은 △임금 2.6% 인상 △임금피크제 개선방안 정부에 공동 건의 △서울시와 연계해 노동시간 단축 추진 △사업장 안전 및 공공성 강화 조치 △직원의 인권보호 및 차별금지 강화 등이다. 이 중 임금 인상률은 애초 노조가 제시한 7.1% 인상보다 크게 낮은 수준에서 타결됐다.



열 차례의 교섭에도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자 노조는 지난달 28일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이달 10~13일 투표를 거쳐 파업을 결정했다. 그러나 26~27일 교섭에서 양측이 쟁점이었던 임금 인상률에서 합의를 보며 지하철 파업으로 시민의 발이 묶이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 노조는 “공동교섭단이 노조의 요구에 못 미치는 내용임에도 대폭 양보해 잠정합의한 것은 파업으로 초래될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파업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다. 잠정합의안은 28일 공동교섭단공동운영위원회의 추인절차를 거친 뒤 조합원 총투표에 부쳐진다. 조합원 총투표에서 합의안이 부결되면 합의 효력은 무효가 되며 이후 노사가 재교섭에 들어가게 된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