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김정은, 특별열차로 4차 방중…'북미정상회담 최종 조율' 전망

김정은 생일·북중 수교 70주년...수행단 규모 최대로 전용기 대신 열차 선택

2차 북미 정상회담 문제 조율 예상...한반도 정세 변화에 중국 가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일행이 타고 온 특별열차가 8일 오전 베이징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일행이 타고 온 특별열차가 8일 오전 베이징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태운 특별열차가 8일 오전 10시 55분경(현지시간) 중국 경찰의 삼엄한 경비 속에 베이징역에 도착했다. 특별열차에는 부인 리설주 여사, 대남 및 외교 정책 책임자인 김영철·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과 박태성 과학기술·교육 담당 부위원장, 노광철 인민무력상 등이 동행했으며, 김 위원장은 집권 후 4번째 방중 일정에 돌입했다.

앞서 김 위원장의 특별열차는 전날 저녁 단둥을 통과한 뒤 선양역에 도착해 쑹타오(宋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 등 중국 측의 환영을 받은 후 곧바로 베이징으로 향했다. 이날 베이징역에는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급이 직접 마중했고, 김 위원장 일행의 차량은 수십 대의 사이드카 호위를 받으며 오전 11시 16분경 중국이 초대한 귀빈이 묵는 조어대(釣魚台)로 들어갔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18년 3월 1차 방중 때도 대규모 수행단을 이끌고 특별열차를 이용해 베이징에 와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을 만나기도 했다. 이번에 김 위원장이 특별열차를 이용한 것은 올해 북·중 수교 70주년을 맞아, 북한 지도자의 전통적인 방중 수단인 열차를 이용해 양국 간 우의를 보여주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더해 방중 날짜인 8일이 김 위원장의 생일이라는 점과 그에 따른 중국 측의 환대와 의전 등이 고려돼 수행단 규모가 커졌고, 이에 따라 전용기보다는 열차를 이동수단으로 택했을 가능성도 있다.

관련기사



김 위원장은 이날 조어대에서 휴식을 취한 후,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4차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민대회당은 시진핑 주석이 다른 나라 정상들과 공식적으로 만날 때 이용하는 장소다. 시 주석과 김 위원장은 이날 인민대회당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양국 간 입장을 조율하고 북·중 관계 개선 방안을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2018년 3월 첫 방중 당시에도 북·중 정상은 인민대회당에서 만나 북·중 관계 개선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번 3박4일의 비교적 긴 일정을 이용해 김 위원장이 중국의 발전현장을 방문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또한, 고위급 수행원들이 북한 핵 문제와 외교, 군사, 과학기술 분야의 책임자라는 점에서, 중국 측과 다양한 의제를 놓고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도 보인다. 이처럼 김 위원장이 새해 벽두부터 방중을 시작으로 외교행보에 나섬에 따라, 한반도 정세 변화에 중국이 본격 가세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변문우 인턴기자 bmw1017@sedaily.com

변문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