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태 환경문제 소통, 서울이 이끈다

■WHO환경센터 서울 설립 MOU

독일에 1곳뿐…아태 지역선 최초

3월 센터장 모집…5월 업무 시작

국제기구서 한국 영향력 강화 기대

조명래 장관 "국외발 미세먼지 많아"

박원순(오른쪽부터) 서울시장과 조명래 환경부 장관, 신영수 세계보건기구(WHO) 서태양사무소 사무처장이 15일 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박원순(오른쪽부터) 서울시장과 조명래 환경부 장관, 신영수 세계보건기구(WHO) 서태양사무소 사무처장이 15일 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최근 서울에 최악의 미세먼지가 엄습한 가운데 ‘세계보건기구(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의 서울 설립을 위한 절차가 본격화됐다. 앞으로 대기오염과 기후변화·환경오염 등과 관련한 국제기구에 우리나라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와 서울시·WHO 서태평양사무소는 15일 서울글로벌센터에서 WHO 환경보건센터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 서명식을 가졌다. WHO 환경보건센터는 세계적으로 유럽 지역에 1개소(독일 본)가 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서울에 최초로 설립된다. WHO 환경보건센터는 오는 3월 센터장과 직원 선발 등의 준비를 거쳐 5월부터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업무를 시작한다.


WHO 환경보건센터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환경오염과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정보와 증거 확보 △환경오염 저감과 건강 증진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정책 방향 제시 △동 지역의 환경보건 역량 강화 등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대기질·에너지·보건, 기후변화·보건, 물·생활환경 등 3개 팀으로 구성되는 WHO 환경보건센터는 동북아시아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환경오염으로 인한 건강 영향에 관한 연구들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 환경부와 서울시에 기술·재무보고서를 매년 제공하고 설립 1·5·9년 차에는 센터 운영 전반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 환경부는 WHO 환경보건센터 유치로 최근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대기오염 등 환경 문제와 관련해 국제기구에 우리나라의 의견이 많이 수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명식에서 “서울시는 환경보건종합계획 수립과 환경보건 및 화학물질종합정보센터 설립 등을 검토 중”이라며 “WHO 환경보건센터가 아시아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박 시장은 이날 최근 미세먼지가 한반도를 뒤덮은 것과 관련해 해결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을 가졌다. 조 장관은 “최근의 고농도 미세먼지는 국내발도 있지만 국외발도 상당한 부분이 있어 우리 국민이 (문제) 해결을 상당히 기대하고 있다”며 “WHO 환경보건센터도 국경을 넘어 각 지역의 환경 현안을 해결하는데 전문성과 리더십을 발휘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서울글로벌센터에서는 WHO 환경보건센터 유치를 기념하는 국제심포지엄도 열렸다. 빌프리드 크라이젤 전 WHO 환경보건국장은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가 회원국 간 협력 증진을 이끌어내고 이 지역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적인 정보기지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칼 크시자노프스키 킹스칼리지런던대 객원교수는 대기질과 관련한 환경보건센터의 성공을 위한 핵심은 지역간 환경보건에 대한 소통이라고 강조했다. /김정욱·임진혁기자 mykj@sedaily.com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