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연간 개 100만 마리가 식용으로 도살…케어사태 책임은 정부"

동물해방물결 19일 입장발표

"年100만 마리 개 도살 정부·국회가 끝내야"

기자회견장 들어서는 박소연 케어 대표 / 연합뉴스기자회견장 들어서는 박소연 케어 대표 / 연합뉴스



유명 동물권단체 케어 박소연 대표가 구조한 동물을 안락사했다는 논란이 불거지며 동물 권익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한편에선 이번 사태를 키운 구조적 책임은 무법지대에서 개들을 마음껏 번식, 판매, 도살해 온 업자들과 그들을 수십년 간 방치해온 정부에 있다고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개 도살 금지를 위한 국제적 운동을 펼쳐온 동물권단체 동물해방물결은 19일 “대한민국은 매년 146만 마리의 개들이 식용과 반려의 목적으로 ‘생산’된다”며 “정부는 개 도살 금지 등 개 식용 문제에 대한 소모적 혼란을 끝내고 하루 빨리 매듭짓길 바란다”고 말했다.


동물해방물결은 “146만 마리 중 100만 마리가 ‘개 식용 산업’ 때문에 죽임을 당하고 있다”며 “개 농장의 개들은 전기봉에 지져지거나 두들겨 맞는 등 안락사보다 훨씬 더 고통스러운 방법으로 죽음을 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들은 또한 개, 고양이 임의도살 금지 원칙을 담은 동물보호법 관련 개정안(표창원 외 10인)을 조속히 처리해달라고 국회에 촉구했다. 지난해 많은 동물 운동가들의 집회와 기자회견에도 동물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심사 소위에 올려지지 못하고 폐기됐다.

동물해방물결은 케어 박소연 대표 사태 이후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논평을 통해 “동물권을 보장”하고 “사람과 동물이 조화로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했다며 다가오는 임시국회는 그들의 진심을 시험하는 무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