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 일정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3월 중순~4월 사이에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장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기자들을 만나 “2월 말 언젠가에 만나기로 합의했다. 나라를 골랐지만 추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 날짜 공개만 남겨뒀을 뿐 ‘북미정상회담 2월 말 개최’ 자체는 기정사실한 셈이다. 이제 초점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 사이에서 북미가 어떻게 ‘주고받기’를 하느냐로 옮겨가고 있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은 2월 말까지 남은 한 달 여 동안 북미가 생산적이고 진전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물밑에서 양측의 이견을 최대한 좁히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내에서는 이번 북미 간 담판의 결과가 향후 남북관계 발전까지 포괄하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동력을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북미 두 정상의 만남 일정이 잡힌 것만으로도 긍정적 시그널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북미 양측이 지난해 6월 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양보 없는 기 싸움을 벌여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협상 결과를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 내에서도 지금은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를 끌어내기 위한 중재 행보에 모든 외교력을 쏟아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된 모습이다.
북미 2차 정상회담 시가가 2월말로 잡히면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북미정상회담 이후인 3월∼4월 중 이뤄질 것으로 점쳐진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3·1절 100주년 기념식에 맞춰 답방할 수 있다는 예측도 있지만 북미정상회담 일정을 고려하면 너무 촉박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3월 중순∼4월 사이가 합리적인 답방 시기라는 관측이 자연스럽게 힘을 얻고 있다.
다만 청와대는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에 대한 질문이 나올 때마다 “지금은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이 우선”이라며 답방 관련 논의는 이뤄지지 않는다고 선을 긋고 있다.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 및 의제 역시 2차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좌우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북미 협상이 제대로 진전을 보지 못할 경우 김 위원장이 서울 답방에 대해 느끼는 부담 역시 커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북제재 문제에 대해 북미가 평행선을 달린다면 남북 정상의 논의 폭도 상당히 좁아질 수밖에 없다. 이 경우 김 위원장의 답방 논의도 지지부진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