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깊어지는 실적·내수부진...기업체감경기 10년來 최악

2월 BSI 전망치 81.1

기업들이 밀집한 서울 강남 테헤란로 일대 전경. /서울경제DB기업들이 밀집한 서울 강남 테헤란로 일대 전경. /서울경제DB



기업의 경기전망을 보여주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가 1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글로벌 경기침체, 주력업종 부진 등에 따른 실적 부담과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상승이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다.


29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BSI를 조사한 결과 2월 전망치가 81.1을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지난 2009년 3월(76.1)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다. 특히 내수부진이 심각해지면서 2월 BSI 내수 전망치는 43개월 만의 최저인 85.2였다. 수출(89.0), 투자(95.2), 자금(94.7), 고용(96.9) 등도 모두 기준선(100)에 못 미쳤다. 한경연은 통상 설 연휴가 있는 2월에 조업일수 감소, 건설업 수주 비수기 등 계절적 요인으로 전망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올해는 유독 감소폭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내수침체 속에 중국 경제 악화, 반도체 경기 둔화 등에 따른 수술 불확실성 확대 등이 원인이라고 한경연은 분석했다.

관련기사



1월 BSI 실적치는 87.3으로 45개월째 100 아래에 머물렀다. 내수(93.5), 수출(91.1), 투자(92.6), 자금(95.7) 등도 부진했다.

송원근 부원장은 “최근 인건비 상승과 금리 인상 등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로 고용과 투자환경이 나빠지면서 내수침체가 심화하고 있다”면서 “지난해 경제성장을 견인한 수출마저 어려워지면서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