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대기업-중기 월급차 50대 가장 커…657만원 vs 245만원

월소득 전기가스 615만원-숙박음식 122만원

개인기업체 임금근로자 월평균소득 159만원

중소기업 50대 임금근로자의 월급이  대기업 동년배 직원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직원 간 월 소득 차이는 50대에서 가장 컸다. 또 월 평균소득이 가장 높은 산업은 전기·가스 공급업으로 조사됐다./이미지투데이중소기업 50대 임금근로자의 월급이 대기업 동년배 직원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직원 간 월 소득 차이는 50대에서 가장 컸다. 또 월 평균소득이 가장 높은 산업은 전기·가스 공급업으로 조사됐다./이미지투데이



중소기업 50대 임금근로자의 월급이 대기업 동년배 직원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직원 간 월 소득 차이는 50대에서 가장 컸다. 또 월 평균소득이 가장 높은 산업은 전기·가스 공급업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30일 공개한 ‘2017년 임금근로자 일자리별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세전소득은 대기업 488만원, 중소기업이 223만원으로 중소기업 직원 월급이 대기업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임금근로자를 소득순으로 줄을 세웠을 때 정중앙인 중위소득은 대기업이 417만원, 중소기업이 180만원이었다. 또 평균 근속기간은 대기업이 7.2년 중소기업이 2.6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소기업 직원 월 평균소득 차이는 265만원으로 1년 전보다 2만원 늘었다. 2016년 평균소득은 대기업 476만원·중소기업 213만원이었고 대-중소기업의 월 평균소득 격차는 50대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대기업 50대 임금근로자의 월 평균소득은 657만원으로, 중소기업의 같은 연령대 근로자(245만원) 보다 거의 3배 수준인 412만원 많았다.


기업 규모별 소득 격차는 20대에는 108만원에서 점차 늘어났다가 60세 이상(223만원)에선 다시 줄어들었다. 5세 단위로 본 월평균 소득은 대기업 임금근로자는 50∼54세에 689만원으로 정점을 찍고 하락했다. 중소기업에선 소득이 가장 많은 연령대가 40∼44세(263만원)였고 그 이후론 점차 소득이 감소했다. 2017년 영리기업의 월 평균소득은 277만원, 비영리 기업의 월 평균소득은 319만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1만원, 1만원 늘어난 수준이다. 또 자영업자에게 고용된 이들을 포괄하는 개인기업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2017년에 159만원으로 전년보다 3만원 증가했다.

관련기사



월 소득은 산업별로도 큰 차이를 보였다. 월 평균소득이 가장 많은 산업은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이하 전기·가스공급업)으로 615만원이다. 전기·가스공급업에는 원자·수력·화력·태양력발전 등 전력산업과 연료용 가스 제조 및 배관공급업 등이 포함된다. 전기·가스공급업은 2016년에도 614만원으로 역시 통계청이 소득을 공표한 20개 산업 가운데 가장 많았다. 두 번째로 월 소득이 많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으로 612만원이었다. 다만 보험설계사 등 실적에 따라 보수가 결정되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포함하면 404만원으로 하락했다.

소득이 가장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으로 122만원이다. 숙박 및 음식점업은 2016년(119만원)에도 20개 산업 중 가장 소득이 적었다.

성별로는 기업 종류를 불문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월 소득이 많았다. 여성의 소득을 남성 소득으로 나눈 비율은 회사법인, 회사 이외 법인, 정부·비법인단체, 개인기업체 등 4가지 분류 가운데 회사 이외 법인이 53.9%로 가장 낮았고 개인기업체는 76.8%로 가장 높았다. 대기업은 여성 근로자의 월 평균소득이 남성의 56.7%에 불과했고, 중소기업은 68.3%에 달했다.

이번 통계는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법인세·부가가치세 관련 자료 등 30종의 행정자료를 활용해 2017년 12월 기준 임금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의 월평균 세전소득을 산출·추정한 결과다. 여기에는 재산·금융 소득 등 근로소득이 아닌 소득이 포함되지 않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행정자료를 관리 기관으로부터 넘겨받고 분석하는 데 시간이 걸려 발표 시점과 통계가 다루는 대상 시점에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