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설 음주 운전 사고, 평일보다 20% 증가




설 연휴 음주운전 사고가 평소보다 20% 높다는 분석이 공개됐다. 음주 후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운전대를 잡고 본가와 시댁, 처갓댁을 오가는 운전자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2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자체 사고자료 11만8,800건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설 연휴 음주운전 사고는 하루 평균 22.6건으로 같은 기간 2월 평균 음주운전 사고 18.8건에 비해 20.2% 높았다.


설 명절 당일을 기준으로 음주운전 사고는 이틀 전(28.0건)과 하루 전(26.8건)에 집중됐다. 명절 당일(17.4건)과 하루 뒤(17.6건)는 적은 편이었다.

관련기사



연령대별 음주운전 사고는 40대(25.7%)가 가장 많았고, 30세 미만(24.9%), 30대(24.2%), 50대(19.0%) 순이다. 연구소는 “설 연휴 음주운전은 평일 대비 새벽 시간대와 낮 시간대의 사고율이 높다”며 “오후 2∼4시의 사고율이 10.7%로 평일의 1.8배”라고 강조했다.

연구소가 설 연휴 4시간 이상 장거리 운전 경험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43%가 전날 술을 마시고 이튿날 아침에 운전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소주 1병 정도 마시고 7시간 이내 운전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운전자는 전체의 40.4%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5%가 설날 음복 후 운전대를 잡은 경험이 있고, 1∼3잔의 음주를 하고서는 운전해도 된다는 응답자가 3명 중 1명꼴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설 연휴에는 장거리 운전으로 졸음운전을 하기 쉽고, 설 인사 등으로 휴대전화 사용이 늘어나면서 전방 주시율이 24%로 떨어진다”며 “첨단안전장치가 운전자의 실수를 일깨워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