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경기가 차갑게 식고 있다. 수출·내수 부진,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이 한 번에 겹치면서 직격탄을 맞는 것이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7로 지난해 12월보다 4포인트 떨어졌다. 지방의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목포를 비롯한 전남·서남부와 대전·충남 지역이 7포인트씩 하락했고 광주·전남과 대구·경북은 각각 5포인트 내렸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대구·경북 지역 제조업체들의 2월 경기전망지수(SBHI)는 60.9로 금융위기(2009년 2월) 이후 최악을 기록했다.
이는 고용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3·4분기 구직급여 신청자 수가 서울이 전년 대비 1.9% 늘어난 데 비해 울산(34.6%)·충남(23.1%)·광주(11.2%)·제주(13.3%)·경북(9.0%) 등 지방 도시는 크게 늘었다. 대구 지역에서는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가 1년 전보다 18.6%나 늘었다. 고용이 불안하자 소비도 줄었다. 지난해 4·4분기 울산 지역 대형소매점 판매는 11.3% 급감했고 경남도 8.7%나 쪼그라들었다. 대전 중앙시장은 올해 설 대목에도 매출이 30%가량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손님의 발길이 뚝 끊기다 보니 폐업도 잇따르고 있다. 지방 부동산은 얼어붙었다. 지난해 지방주택 매매가격은 14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기업경영 악화→고용감소→소비위축→지역경기 침체’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지방 경기가 심상치 않자 정부는 20조원 규모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고 지방 부동산 ‘핀셋 대책’을 검토 중이지만 경기 하락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지역 경기가 급속하게 가라앉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재영·서민우·최성욱기자 jyha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