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포승산업단지 5~6곳 임금도 못줘" ...지방이 죽어간다

"인력·공장 가동 줄여도

치솟는 인건비 감당 못해"

폐업하는 상가마저 속출

경기 시화 반월공단에서 화학약품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설 연휴가 되레 힘들었다. 일감이 줄면서 100억원대에 달했던 매출이 지난해 반 토막 났고 최근 함께 일하던 종업원도 모두 내보냈기 때문이다. A씨는 “인건비 부담이 커서 그때 그때 필요한 인력을 아르바이트 형태로 구해 쓰고 있다”고 말했다. 평택 포승산업단지에서 반도체 튜브관을 생산하는 B사 대표는 “경기가 어렵다고 하지만 지난해 설도 이 정도는 아니었다”며 “매출이 늘지 않는데 최저임금은 크게 올라 공단 내 업체 5~6곳이 급여를 주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방 경기가 차갑게 식고 있다. 수출·내수 부진,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이 한 번에 겹치면서 직격탄을 맞는 것이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제조업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67로 지난해 12월보다 4포인트 떨어졌다. 지방의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목포를 비롯한 전남·서남부와 대전·충남 지역이 7포인트씩 하락했고 광주·전남과 대구·경북은 각각 5포인트 내렸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대구·경북 지역 제조업체들의 2월 경기전망지수(SBHI)는 60.9로 금융위기(2009년 2월) 이후 최악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이는 고용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3·4분기 구직급여 신청자 수가 서울이 전년 대비 1.9% 늘어난 데 비해 울산(34.6%)·충남(23.1%)·광주(11.2%)·제주(13.3%)·경북(9.0%) 등 지방 도시는 크게 늘었다. 대구 지역에서는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가 1년 전보다 18.6%나 늘었다. 고용이 불안하자 소비도 줄었다. 지난해 4·4분기 울산 지역 대형소매점 판매는 11.3% 급감했고 경남도 8.7%나 쪼그라들었다. 대전 중앙시장은 올해 설 대목에도 매출이 30%가량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손님의 발길이 뚝 끊기다 보니 폐업도 잇따르고 있다. 지방 부동산은 얼어붙었다. 지난해 지방주택 매매가격은 14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기업경영 악화→고용감소→소비위축→지역경기 침체’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지방 경기가 심상치 않자 정부는 20조원 규모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고 지방 부동산 ‘핀셋 대책’을 검토 중이지만 경기 하락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지역 경기가 급속하게 가라앉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재영·서민우·최성욱기자 jyhan@sedaily.com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