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충청권 4개 시ㆍ도, 2030 하계 아시안게임 유치에 나선다

충남·충북·대전·세종 업무 협약 체결…TF 구성·연구용역 추진

충청남도, 충청북도, 대전시, 세종시 등 충청권 4개 광역자치단체는 7일 업무 협약을 맺고 ‘2030 하계 아시안게임’ 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사진은 충청남도가 충남 부여군에 조성한 백제문화단지. /이미지투데이충청남도, 충청북도, 대전시, 세종시 등 충청권 4개 광역자치단체는 7일 업무 협약을 맺고 ‘2030 하계 아시안게임’ 유치에 나서기로 했다. 사진은 충청남도가 충남 부여군에 조성한 백제문화단지. /이미지투데이



충청권 4개 광역자치단체가 ‘2030 하계 아시안게임’ 유치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이시종 충북지사와 양승조 충남지사, 허태정 대전시장, 이춘희 세종시장은 이날 오전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2030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시ㆍ도지사는 2030 하계 아시안게임을 충청이 세계 중심으로 도약할 기회로 보고 560만 충청인들을 하나로 모아 유치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아울러 2030 아시안게임 유치에 성공할 경우 남북 공동 입장, 남북 단일팀 구성 등 남북한 스포츠 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4개 시ㆍ도는 이날 합의 내용을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 등에 전달한다.


유치를 위해 4개 시ㆍ도는 각 지자체별로 체육 관련 국장이나 과장 등 3∼4명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이른 시일에 2030아시안게임 기본계획 등을 담은 연구용역에 들어간다. 올 연말 즈음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아시아올림픽평의회에 유치 의향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충북도의 설명에 따르면 아시안게임이 열리는 2030년은 행복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이 완성되는 해다. 이에 대회 유치는 행정수도 세종시 완성에 화룡점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 특별시 건설을 통해 동북아 ‘과학 수도’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충북도는 설명했다. 아울러 충남은 백제의 역사ㆍ문화ㆍ관광의 중심으로, 청주국제공항은 행정수도 관문을 넘어 아시아의 관문으로 위상이 높아질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2030 아시안게임은 정부가 추진하는 ‘2032 서울ㆍ평양 올림픽’ 프레 대회 성격을 띠어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홍보의 장이 될 뿐 아니라 충청권 스포츠 인프라 확충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