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연구원, 버스운전자 교통사고 줄이기…64%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설치 필요

버스운전자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속도위반, 중앙선침범, 안전거리미확보, 안전조치위반, 신호위반 등의 사고 원인을 예방하는 기능을 통해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0일 경기도 버스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하고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에 대한 버스운전자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첨단 운전자지원시스템의 도입방향을 제시한 ‘경기도 버스교통사고 분석기반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도입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이란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위험감지 센서, 경보장치 등이 자동차에 설치되어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지난 2017년 기준 경기도에서는 버스 2,187대에 차선이탈경고장치와 전방충돌경고장치 등의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을 설치했다. 이에 대해 버스운전자 64.0%가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이 운전 시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관련기사



빈미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은 실제 발생하는 버스교통사고의 원인과 발생유형을 고려해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사고분포를 고려할 때 경기도 시·군내 일반형시내버스의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그는 버스운전자 교통사고의 심각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속도위반 △중앙선침범 △안전거리미확보 △승객을 위한 안전조치위반 △신호위반 등의 법규위반을 예방하며 보행자와 승객의 안전을 위한 지원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지난 2015∼2017년까지 경기도에서는 총 7,146건의 버스운전자 교통사고가 발생해 연평균 2,382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인명피해는 사망자 112명, 중상자 2,815명, 경상자 7,278명 등에 달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