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찬바람 부는 지방 소비

16개 시·도 중 7곳 소비 감소

'구조조정 직격탄' 울산 2.8% ↓

경기 둔화와 주력 산업 구조조정 등의 여파로 지난해 4·4분기에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7곳에서 소비 감소가 나타났다. 특히 울산 등 산업 위기 지역에서의 소비 위축이 두드러졌다. 한국GM 등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 직격탄을 맞은 울산·전북 두 곳은 서비스업생산 상승률도 전국 평균에 크게 못 미쳤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시도 서비스업 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4분기 울산의 소매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2.8% 줄어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낙폭이 가장 컸다. 지난 2016년 4분기(-2.9%)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이밖에 대전(-2.2%), 경북(-1.3%), 경남(-0.5%), 전북(-1.2%), 충남(-1.3%) 등 대부분 지방에서 소비가 줄었다. 부산도 0.1% 위축됐다. 반면 서울(3.7%), 인천(3.0%), 경기(0.5%) 등 수도권 지역은 늘었다. 중국인 관광객과 인구 유입 증가 영향을 받은 제주(10.4%)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관련기사



서비스업생산 역시 위기 지역에서의 증가 폭이 눈에 띄게 낮게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전국 평균적으로 서비스업생산이 2.4% 상승한 가운데, 울산(0.7%)과 전북(0.8%)만 상승률이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세부적으로는 울산이 도소매(-0.8%), 숙박음식점(-5.2%), 부동산(-4.3%), 교육서비스(-2.5%) 업종에서 위축됐고, 전북은 숙박음식점(-5.7), 여가서비스(-4.9%) 등에서 지수가 하락했다. 전체 서비스업생산은 인천(4.5%)이 가장 높았고 충남(2.9%), 충북(2.7%), 부산(2.7%)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세종=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