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위아, 中 SUV에 '심장' 이식

창펑치처에 1조 엔진·부품 공급

까다로운 中 환경·연비규제 뚫고

글로벌 車부품사 성장발판 마련

신문영(앞줄 오른쪽) 현대위아 산둥법인장과 덩쥐파(〃 왼쪽) 창펑치처 구매부사장이 지난 22일 중국 후난성 창사시 창펑치처 창사연구소에서 1조원 규모의 2,000㏄급 가솔린 터보 공급계약을 맺고 축하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위아신문영(앞줄 오른쪽) 현대위아 산둥법인장과 덩쥐파(〃 왼쪽) 창펑치처 구매부사장이 지난 22일 중국 후난성 창사시 창펑치처 창사연구소에서 1조원 규모의 2,000㏄급 가솔린 터보 공급계약을 맺고 축하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위아



현대위아(011210)가 중국 완성차 업체와 1조원 규모의 엔진 및 부품 공급 계약을 따냈다.

현대위아는 중국 산둥 법인이 현지 완성차 업체 창펑치처와 8,400억원 규모의 엔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와 함께 현대위아는 부변속기(PTU)와 전자식 커플링 등 사륜구동(4WD) 부품, 배기가스 후처리 부품 등 1,800억원가량의 공급 계약도 추가로 수주했다.

현대위아는 오는 2020년 8월부터 완제품 ‘2.0 가솔린 터보 GDI’ 엔진을 창펑치처에 공급하게 된다. 이번에 공급하기로 한 엔진은 현대자동차의 쏘나타, 기아자동차의 K5와 유사한 엔진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간 6만대씩 총 30만대로 이는 창펑치처의 연간 생산량(약 13만대)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 엔진은 창펑치처가 현재 개발 중인 신형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탑재될 예정이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국내 자동차 부품사가 해외 완성차 업체와 엔진 공급 계약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자동차의 심장’인 엔진을 공급해 기술력을 인증받은 만큼 글로벌 자동차 부품사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수주에서도 현대위아의 엔진 기술력이 최종 계약에 이를 수 있었던 가장 큰 동력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위아는 중국의 배기가스 규제인 ‘China6’와 연비 규제 모두를 충족하는 엔진 기술인 점을 적극적으로 알렸다. 터보차저는 ‘다운사이징’을 추구하는 중국 내 자동차 판매 분위기와 맞아 떨어지면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중국 자동차의 터보차저 장착률은 2017년 50% 수준에서 2021년에는 75%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것도 수주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중국 현지에 세워진 산둥법인을 활용해 인건비와 물류비·관세 등을 절감했다. 현대위아 산둥법인은 지난 2006년 중국 산둥성 르자오시에 설립한 공장으로 연간 80만대 엔진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를 갖췄으며 지난해 2월 엔진 누적생산 500만대를 돌파했다.

현대위아는 이번 수주를 시작으로 창펑치처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김경배 현대위아 사장은 “높은 품질과 기술력으로 대규모 부품 계약을 맺을 수 있었다”며 “글로벌 무대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자동차 부품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