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세먼지 저감효과 없었다"…기상청 올해 첫 인공강우 실험 결과 발표

영광·나주 일대 미세먼지 농도 일시 감소

"바람 영향…인공강우 영향은 없어"

지난 1월25일 오전10시께 전북 군산에서 120㎞ 떨어진 서해 상공을 기상항공기가 요오드화은 발사탄을 싣고 비행하고 있다. 해상에는 기상 선박이 미세먼지 저감 효과 및 인공강우 관측을 위해 운항 중이다.     /사진제공=기상청지난 1월25일 오전10시께 전북 군산에서 120㎞ 떨어진 서해 상공을 기상항공기가 요오드화은 발사탄을 싣고 비행하고 있다. 해상에는 기상 선박이 미세먼지 저감 효과 및 인공강우 관측을 위해 운항 중이다. /사진제공=기상청




지난 1월25일 오전10시께 전북 군산에서 120㎞ 떨어진 서해 상공을 기상항공기가 요오드화은 발사탄을 싣고 비행하고 있다. 항공기 주변으로 구름이 뿌옇게 끼어 있다./사진제공=기상청지난 1월25일 오전10시께 전북 군산에서 120㎞ 떨어진 서해 상공을 기상항공기가 요오드화은 발사탄을 싣고 비행하고 있다. 항공기 주변으로 구름이 뿌옇게 끼어 있다./사진제공=기상청


지난달 25일 서해상에서 실시된 올해 첫 인공강우 실험에서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거두지 못한 사실이 공식 발표됐다.

기상청과 환경부는 27일 오전 11시 ‘서해상 인공강우 실험 상세 분석결과 발표’ 합동브리핑을 열고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내륙 지역에서 강우가 관측되지 않아 확인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기상청과 환경부는 지난달 25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 사이 전북 군산에서 120㎞ 떨어진 서해상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실시한 바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해당 실험 기간동안 목표 지역인 영광과 나주 일대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일부 감소했지만 이는 바람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후 외부 공기가 유입되자 미세먼지 농도가 다시 증가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다만 실험기간 동안 대기 중 구름이 발달하고 장산도 등 일부 섬에서 강우가 감지되는 등 인공강우 실험 자체는 일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드러났다. 기상청은 “구름 내부 변화를 분석한 결과 큰 구름과 강우 입자의 수가 증가했고 기상레이더를 통해 하층 구름이 발달하는 것이 탐지됐다”고 설명했다. 내륙에서 강우가 감지되지는 않았다. 내륙의 경우 대기가 건조해 강우 입자가 낙하하는 도중 증발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내륙 보다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해상 실험에서 인공강우 가능성을 확인했다”면서 “증우량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만큼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