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뉴욕증시, 고용 등 경제지표 부진…다우 0.52% 하락 마감

다우 0.52% 하락 마감해

뉴욕증시 전문가들, “증시 당분간 소강상태 보일 가능성 있다”고 진단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거래원들이 모니터를 응시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입회장에서 거래원들이 모니터를 응시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무역협상 관망 심리 확산과 경제 지표 부진으로 하락 마감했다.

6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다 133.17포인트(0.52%) 내린 25,673.4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날대비 18.20포인트(0.65%)하락한 2,771.4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70.44포인트(0.93%) 내린 7,505.92에 장을 마감했다. 각종 지표의 악화에 따라 경기 상황에 대한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ADP 전미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2월 민간부문 고용은 18만3,000 명 늘었다.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적다. 시장 전망치 18만5,000 명도 소폭 밑돌았다.

미국의 무역적자도 예상보다 큰 폭 늘었다. 12월 무역적자는 598 억 달러로, 월가 예상치인 579 억 달러를 넘어서며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8년 10월 이후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대중국 무역적자는 전년 대비 12% 늘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등 무역적자 억제 노력도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지난해 무역흑자도 6,210억 달러로, 지난 2008년의 7,090억 달러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무역적자가 올해 1분기 미국 성장률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진단했다.


무역 협상과 관련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재선을 앞두고 주가를 부양하기 위해 중국과 협상 체결을 독촉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협상이 불발될 경우 증시가 붕괴할 수 있다는 점을 걱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시장은 양국의 협상 타결 가능성이 이미 상당폭 가격에 반영됐다는 진단을 내리고 있다. 구체적인 협상 결과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타결 기대만으로는 증시가 크게 움직이기 어렵다는 인식도 한층 높아진 분위기다.

관련기사



한편 중국의 예상보다 적극적인 감세 조치에 중국 증시는 강세를 보였지만,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은 제한됐다. 중국은 최대 정치 행사인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 업무 보고에서 대규모 감세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제조업계 등의 부가가치 세율은 16%에서 18%로 대폭 인하된다.

연준의 경기평가도 후퇴했다. 지난 1월 베이지북까지 경제가 ‘완만하게(modest-to-moderate)’ 확장했다고 진단했던 것보다 나빠졌다. 이에 연준은 베이지북에서 대부분 관할 지역의 경제가 ‘약간에서 완만한(slight-to-moderate)’ 정도로 확장했다고 판단했다. 더불어 연준은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도 지속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3%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으며 특히 유럽 성장률 전망치를 큰 폭 하향 조정했다.

이날 종목별로는 래리 컬프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잉여현금 흐름이 순유출을 기록할 것이라고 말한 여파가 이어진 제너럴 일렉트릭(GE)주가가 8%가량 급락했다. 업종별로는 국제유가 하락 탓에 에너지가 1.28% 내렸고, 건강관리 업종도 1.47% 하락했다. 재료 분야는 0.2% 올랐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경제 전망에 많은 불확실성이 있어 확실한 통화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어려우며 연준은 지표를 기다릴 수 있다고 말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증시가 당분간 소강상태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GW&K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아론 클라크 포트폴리오 매니저는“많은 긍정적인 소식이 가격에 반영됐다”면서 “미·중 협상 진전과 비둘기 연준 덕에 1년 치 이상의 성과를 이미 거뒀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런 강한 상승 뒤에 소화하는 기간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현재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3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0.0%, 인하 가능성을 1.3%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6.78% 상승한 15.74를 기록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