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38노스 “北동창리 발사장, 정상가동 상태로 돌아간 듯”

재건 움직임이 포착된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 미사일발사장 모습으로 민간 위성업체 디지털글로브가 지난 2일(현지시간) 촬영한 사진이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는 5일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해체 작업이 시작됐던 동창리 미사일발사장의 일부 구조물을 다시 짓는 작업이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2일 사이에 시작됐다고 밝혔다./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재건 움직임이 포착된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 미사일발사장 모습으로 민간 위성업체 디지털글로브가 지난 2일(현지시간) 촬영한 사진이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는 5일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해체 작업이 시작됐던 동창리 미사일발사장의 일부 구조물을 다시 짓는 작업이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2일 사이에 시작됐다고 밝혔다./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의 북한전문 매체 38노스는 7일(현지시간) 북한의 서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이 정상가동 상태(normal operational status)로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38노스는 이달 6일 촬영된 상업 위성사진을 토대로 미사일 발사대와 엔진시험대를 재건하려는 공사가 빠른 속도로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38노스는 이런 공사가 베트남 하노이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에 시작된 것이라면서 이런 공사에 발사장 여타 지역의 움직임을 종합해 볼 때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이 예전의 통상적 가동 상태로 돌아간 것 같다고 지적했다.

38노스의 상세 분석에 따르면 미사일 발사대의 경우 궤도식 이동구조물에서 이뤄지던 작업은 위성사진이 촬영된 6일 기준으로 완료된 것으로 보이며 이동구조물은 현재 가동중일 수도 있다.

발사대 옆 크레인들은 치워졌으며 상단에 설치된 트러스(지붕 등을 떠받치는 구조물)는 무엇인가로 씌워져 있었다. 이동 구조물은 미사일 발사대의 끄트머리 쪽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다.


갠트리 타워 인근에는 차량이 몇대 서 있고 발사대의 잔해는 치워졌다.



위성사진 상으로 선명하게 보이지 않아 엔진시험대의 경우 확실하게 분석하기 어렵지만 시험대를 지지하는 구조물의 재건에 진척이 있었고 지난 2일 위성사진에서 보이던 자재들은 치워졌다.

미사일발사대와 엔진시험대 이외의 장소에서도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38노스는 부연했다.

앞서 38노스는 지난 2일 촬영된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해체 작업이 시작됐던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일부 구조물을 다시 짓는 작업이 지난달 16일부터 이달 2일 사이에 시작됐다고 5일 밝혔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도 같은 날 촬영된 위성사진을 근거로 “북한이 서해 장거리 미사일 발사장을 신속히 재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가정보원 역시 국회 정보위 보고서에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철거 시설 중 일부가 복구되고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김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