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지금 중국은]"中 소득·고용 상황 악화땐 공산당체제 지속 장담 못해"

우진훈 베이징외국어대 교수




“중국인들만큼 현실적인 민족도 달리 없습니다. 공산당이 중국 인민들이 돈을 벌고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게 해준다면 체제에 대한 불만이 커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우진훈(사진) 베이징외국어대 국제상학원 교수는 10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중국 사회의 분위기와 공산당체제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공산당 집권 아래 중국 체제를 지탱하는 것은 결국 경제성장과 일자리라는 것이다.

우 교수는 올해 중국 정부가 제시한 경제성장률 목표치인 ‘6~6.5%’는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일자리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바오류(保六·6% 이상 성장)’는 지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중국에는 국민들의 대규모 저축이 있고 정부의 재정적자 및 감세 여지도 충분하다”며 “목표한 성장 속도를 내기 위한 정책수단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제 양적 성장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 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미 임계점에 다다른 기업부채와 환경오염, 관료들의 복지부동은 더 복잡한 해결책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우 교수는 “시진핑 정부는 임기 내에 △샤오캉사회 실현(1인당 소득 1만2,000달러) △금융리스크 예방 △대기오염 개선 △대만 통일을 위한 토대 마련 등을 약속했다”며 “라오바이싱들은 이것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우 교수는 특히 “중국의 경제민주화라는 점에서 특히 눈여겨볼 것은 거대 국영기업의 변화”라고 강조했다. 중국 경제의 절반 이상을 움직이는 국영기업은 ‘국유’라고는 하지만 실제 혁명 3세 등 기득권층이 차지하고 있다. 그는 “이들이 이익을 줄이고 민영기업에 양보하느냐가 앞으로 중국 경제구조를 바꾸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인들의 중국인들에 대한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 우 교수의 조언이다. 한 자녀 정책의 결과로 중국은 과거 세대와는 다른 청년 세대를 갖게 됐다. 이것이 한국 경제에 위기이자 기회라는 것이다. 우 교수는 “바링허우(1980년대생)나 주링허우(1990년대생) 등은 정치에 대해 관심이 없다”며 “외교적 마찰이 있는지 여부는 상관없이 물건만 좋으면 외국산이라도 거리낌 없이 구매한다”고 말했다. 핵심은 기술력의 문제라는 것이다.

지난 1991년 중국에 건너온 우 교수는 중국인민대에서 산업경제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줄곧 중국에서 연구와 저술활동에 몰두해왔다. 최근 중국 전문가 양성을 위한 ‘중국대학원대학’의 한국 내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우 교수는 “신시대 및 신세대 중국에 대한 보다 엄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