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중국, 올해 R&D투자 GDP 2.5%로 늘린다

2000년 0.89%서 급증…美 제외 절대금액으론 최대

美 IT기업 투자 제한 등 견제에 기술자립 박차 분석

중국이 올해 연구개발(R&D) 투자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2.5%까지 늘린다. 이는 중국 정부의 원래 계획보다 1년 빠른 것으로, 갈수록 강해지는 미국의 견제에 맞서 기술자립을 서두르겠다는 의도로 분석된다.

1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전날 중국공산당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에서 생물물리학자 라오쯔허가 이 같은 중국 정부의 중장기 과학기술 발전 계획을 공개했다.

지난해 중국은 연구개발에 1조9,600억 위안(약 330조원)을 투자했다. 이는 전년보다 11.6% 급증한 것으로, GDP 대비로는 2.18%에 달하는 수준이다. 중국은 원래 내년까지 연구개발 투자를 GDP 대비 2.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었지만, 1년 앞당겨 올해 이를 달성하게 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00년 중국의 연구개발 투자는 GDP 대비 0.893%에 불과했지만, 빠르게 비중이 커져 지난 2017년 2.129%까지 늘어났다. 2017년 기준 세계에서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액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이스라엘과 한국으로 각각 4.5% 수준이다. 미국은 2.788%였다. 하지만 절대적인 금액 기준으로 중국의 연구개발 투자액은 미국을 제외한 세계 모든 나라에 앞선다.



이처럼 중국이 연구개발 투자에 박차를 가하는 것은 미국의 견제에 맞서 기술자립을 꾀하려는 염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중국 기업이 지난해 미국의 반도체와 하드웨어 기업에 투자한 금액은 2억340만 달러(약 2,300억원)에 그쳐 전년의 10억3,000만 달러(약 1조1,700억원)의 5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이는 중국의 ‘기술 굴기’를 경계하는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의 대미 투자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는 등 강력한 견제에 나섰기 때문으로 여겨지며, 중국은 이에 맞서 기술자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는 중국이 여전히 선진국에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지난해 기초연구 분야에 1,118억 위안(약 19조원)을 투자했으며, 지난 10여 년 동안 전체 연구개발 투자에서 기초연구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5∼5.6%에 그쳤다. 주요 선진국의 경우 15∼20%에 달하고, 특히 미국의 경우 18%를 쏟아붓고 있다.

이재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