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반도 '훈풍'에 남북인적교류 대폭 증가

■통일부, 2019 통일백서 발간

2017년 115명에서 지난해 7,498명 달해

대북제재 여파 교역량 증가는 미미




지난해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관계가 개선되면서 남북 간 왕래 인원이 7,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남북관계가 극한 대립을 지속하던 2017년에 남북 간 왕래인원이 방북 52명, 방남 63명 등 115명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비약적인 증가다.


통일부가 21일 발간한 ‘2019 통일백서’에 따르면 2018년 남북 간 왕래 인원은 방북 6,689명, 방남 809명 등 총 7,498명이었다.

왕래 인원 증가는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교류협력 강화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양측은 관계 개선을 위해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 체육교류, 산림협력, 체육·종교·학술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전방위적인 민간과 지자체 교류협력을 진행했다.

남북 간 왕래가 잦아지면서 경의선·동해선 육로를 통한 남북 차량 왕래 횟수도 지난해 5,999차례에 달했다. 2017년에는 남북관계가 단절돼 차량 왕래가 한 번도 없었다.

선박과 항공기가 남북을 오간 것도 2016년과 2017년에는 없었지만, 지난해에는 각각 1차례, 10차례로 조사됐다.


통일부의 지난해 북한 주민 접촉신고 수리 건수도 사회문화 분야 414건, 남북 경제협력 분야 149건 등 707건으로 전년의 199건에 비해 약 3.5배 증가했다.



다만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해 남북 간 교역량은 크게 증가하지 못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가 무산되면서 북한에서 반입된 물품의 액수는 1,100만 달러, 반출 액수는 2,100만 달러에 그쳤다. 개성공단이 번창하던 시절에는 남북교역액이 10억여달러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교역 건수는 반입과 반출이 각각 212건, 487건이었으며, 품목수로는 반입 238개, 반출 410개였다.

또 지난해 정부 차원의 대북 인도지원은 12억원, 민간 차원의 지원은 65억원 규모였으며, 3년 만에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열려 남북 총 170가족, 833명이 상봉했다.

남북 당국간 대화도 2년 만에 재개돼 1월 고위급회담을 시작으로 세 차례의 정상회담 등 총 36차례의 남북회담이 열려 23건의 합의서가 채택됐다.

통일부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개소돼 24시간, 365일 소통 시대가 열리는 등 남북대화가 일상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발간사에서 “2018년 한반도에서 화해와 평화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됐다”며 “2019년은 우리에게 더 큰 희망과 더 중대한 과업의 시간”이라고 밝혔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