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민들 소득 줄어든 것도 서러운데…체감 집값 양극화 '최악'

저소득층-고소득층, 소득 대비 주택가격 격차 최고

서울에 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체감 집값 양극화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벌어졌다. 사진은 여의도의 한 빌딩에서 바라본 마포구 공덕동 일대의 아파트 모습. /서울경제DB서울에 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체감 집값 양극화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벌어졌다. 사진은 여의도의 한 빌딩에서 바라본 마포구 공덕동 일대의 아파트 모습. /서울경제DB



서울에 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체감 집값 양극화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벌어졌다.

26일 KB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연 소득(명목) 하위 20%인 1분위 가구(2인이상·도시가구)의 서울 주택 가격(KB시세) 1분위 기준 PIR(소득 대비 주택가격·Price to income ratio)은 21.0이었다. 이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가 소득 수준과 비슷한 하위 20% 가격의 주택을 사려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21년간 모아야 한다는 뜻이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가격 상위 20% 주택을 지출 없이 살 수 있는 기간(PIR)은 14.6년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PIR 차이는 6.4년으로 같은 달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크다.


같은 분위의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한 1·5분위 가구 간 PIR 격차는 2008년 12월 5.2를 기록한 뒤 꾸준히 하락세를 유지해 2017년 12월에는 2.0까지 내려갔다. 소득 차이에도 각자의 소득 수준에 걸맞은 집을 사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격차가 2년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KB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년 동기 대비 전국의 주택가격은 3.16%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계 소득(명목·전국)은 1년 전보다 17.7%나 줄어든 반면 5분위 가계 소득은 10.4%나 올랐다. 이는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집값이 고소득층에 비교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PIR은 실제로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간과 차이가 있지만, 소득과 비교한 주택 가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흔히 체감 집값 지표로 활용된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