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위·대장·폐암환자, 뇌경색 위험 17% 높아

서우근·이준영 삼성서울병원 교수팀

암진단 7년차 뇌졸중 사망위험 1.2배

갑상선·유방·인두암 등은 연관성 없어

위·대장·폐암 환자 등은 일반인에 비해 뇌경색 위험이 17%, 암 진단 7년차에 뇌졸중(뇌경색·뇌출혈)으로 사망할 위험이 2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우근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신경과)·이준영 고려대(의학통계학교실) 교수팀이 암과 뇌졸중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26일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 2002~2015년 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 코호트를 토대로 암환자 2만707명과 일반인 67만 5,594명의 뇌졸중 발병 위험을 비교했더니 암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은 17%, 뇌출혈(출혈성 뇌졸중)을 포함한 뇌졸중 위험은 13% 높았다. 암환자가 뇌졸중으로 사망할 위험은 암 진단 7년차 때 일반인보다 21% 높았다.


암환자의 뇌경색 위험은 암 진단 3년차까지 커지다 7년차까지 좁혀지지 않은 채 유지됐다. 다만 뇌출혈은 연관성이 분명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이런 현상은 위암·대장암 등 소화기암, 폐암 등 흉곽 내 장기에서 발생한 암과 뚜렷한 관련성을 보였다. 반면 갑상선암·유방암·인두암 등은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팀은 암환자의 뇌경색 위험과 뇌졸중 사망위험이 높은 이유에 대해 “항암화학요법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같은 암환자라도 항암화학요법을 받았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뇌졸중 발병위험이 21%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서우근 교수는 “암으로 인한 고통도 큰 데 뇌졸중 위험까지 겹치면 환자나 가족들이 그 부담을 견디기 매우 어렵다”면서 “암 진단과 동시에 뇌졸중 위험을 관리·예방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 인 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에 발표됐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