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항균 비누·손세정제·주방세제, 알레르기비염 위험 높인다

사용량 많은 가정 초등생 1.37배 ↑

살균·보존제 트리클로산 등 포함돼

항균 비누·손세정제·주방세제를 많이 사용하는 가정의 어린 자녀는 알레르기비염 발생위험이 1.37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6일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환경건강연구실 연구팀(김정훈 박사, 김규상 실장)이 학부모 동의를 받은 서울시 초등학생 1학년 1,538명 중 알레르기비염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917명을 6년간(2012~2017년) 추적관찰한 결과다.


연구팀은 설문조사를 통해 추적 전 학부모에게 가정에서 ‘항균’이라고 표시돼 있는 제품 10종의 ‘최근 1주일 동안 사용빈도’를 조사하고 추적기간 초등학생 자녀의 알레르기비염 발생과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6년 동안 4명 중 1명(25.6%)이 알레르기비염 진단을 받았다. 남학생, 부모가 알레르기질환이 있거나 학생이 천식·아토피피부염이 있는 경우 알레르기비염 발생비율이 높았다.


항균제품 10종 중 항균 비누·손세정제·주방세제 등 3종이 알레르기비염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 제품 3종을 많이 사용하는 군의 알레르기비염 발생비율은 28.1%로 적게 사용하는 군(22.7%)보다 5.4%포인트 높았다.

관련기사



알레르기비염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보정했더니 항균제품 고사용군은 저사용군보다 알레르기비염 발생 위험이 1.37배 높았다.




연구팀은 “항균제품에 살균·보존제로 사용되는 트리클로산(triclosan)과 트리클로카반(triclocarban)이 알레르기비염 발생과 관련됐을 수 있다”며 “두 물질은 여러 연구에서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환경호르몬으로 발생·생식독성, 알레르기질환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지목돼 왔다”고 설명했다.

연구 책임자인 김규상 실장은 “항균제품 사용이 초등학생의 알레르기비염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중요한 결과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를 수행한 김정훈 박사(선임연구원)는 “트리클로산 등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항균제가 소량 들어갔어도 사용빈도 등에 따라 노출 수준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소아 알레르기면역학(Pediatric Allergy and Immunology)’에 발표됐다.

앞서 환경정의는 2014년 서울시 대형마트에서 ‘항균’을 강조한 19개 생활제품 중 7개(37%)에서 트리클로산 또는 트리클로카반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7개 제품 중 4개에는 세탁·주방용 비누, 손세정제 등이 포함됐으며 3개에는 성분 표기가 없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