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식물' 실내‘미세먼지’줄이는 효과 있다

농진청, 거실에 화분 3∼5개면 초미세먼지 20% 줄어

식물이 실내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은 초미세먼지 ‘나쁨’(55ug/㎥)인 날 기준으로 20㎡의 거실에 잎 면적 1㎡의 화분 3∼5개를 두면 4시간 동안 초미세먼지를 20% 정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4년 동안 여러 종의 실내식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이런 연구결과를 찾아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실험은 챔버에 미세먼지를 공기 중으로 날려 3시간 둔 후 가라앉은 큰 입자는 제외하고 초미세먼지(PM 2.5) 300μg/㎥ 농도로 식물 있는 밀폐된 방과 없는 방에 각각 넣고 4시간 동안 조사했다. 그 결과 미세먼지를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화 기기를 이용해 식물이 있는 방에서 초미세먼지가 실제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고 농진청은 설명했다.

파키라파키라



농진청은 초미세먼지를 없애는 데 효과적인 식물도 선발했다.


초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식물은 파키라, 백량금, 멕시코소철, 박쥐란, 율마 등 5종을 꼽았다. 농진청은 이 식물들 가운데 파키라 식물이 초미세먼지를 줄이는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농진청은 전자현미경으로 잎을 관찰한 결과 미세먼지를 줄이는데 효율적인 식물의 잎 뒷면은 주름 형태, 보통인 식물은 매끈한 형태, 효율이 낮은 식물은 표면에 잔털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잔털은 전기적인 현상으로 미세먼지 흡착이 어려운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농진청 관계자는 “생활공간에 공간 부피 대비 2%의 식물을 넣으면 12∼25%의 미세먼지가 줄어들기에 기준을 20%로 잡고 적합한 식물 수를 조사했다”며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30%까지 줄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농진청은 식물의 공기 정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공기를 잎과 뿌리로 순환하는 식물-공기청정기인 ‘바이오월’을 개발한 바 있다.

농진청은 “바이오월은 공기청정기처럼 실내 공기를 식물로 순환시켜 좀 더 많은 공기를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며 “화분에 심은 식물에 비해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7배 정도 높다”고 밝혔다. 화분에 심은 식물의 시간당 평균 저감량은 33ug/㎥인데 반해, 바이오월은 232ug/㎥이다.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정명일 도시농업과장은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우수한 식물 선정과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 개발뿐만 아니라 사무공간과 학교에 적용하는 그린오피스, 그린스쿨 연구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