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건강 팁] 오십견, 머리 빗거나 감기 힘들어져...관절 운동범위 늘려주는 운동을




어깨가 아프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환이 오십견일 것이다. 하지만 연령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떨어진다.

오십견은 어깨관절을 싸고 있는 관절낭의 염증·유착으로 관절운동이 크게 제한돼 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그래서 동결견 혹은 유착성 관절낭염으로 불린다.

오십견은 아무런 이유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차성의 원인은 당뇨·갑상선 같은 전신질환, 외상, 수술은 물론 어깨관절 내 회전근개 파열, 충돌증후군, 석회성 건염 등이다.


초기에는 통증이 주된 증상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어깨관절운동 범위가 제한된다면 오십견을 의심해볼 수 있다. 손을 들어 머리를 빗거나 감기 힘들고, 손을 등 뒤로 돌려 옷을 입거나 바지 뒷주머니에 넣기 힘들고, 밤에 더욱 통증이 심해지며 통증이 있는 쪽으로 눕기 힘들고 잠을 자다 통증 때문에 깨기도 한다.

관련기사



많은 경우 어깨관절 스트레칭과 근력운동으로 오십견을 예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십견은 1~2년 안에 자연 치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부 환자는 그보다 오랜 기간 고통을 받는다. 후유증 때문에 관절운동 범위가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오십견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절운동 범위를 늘려주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다. 증상이 심해 운동치료가 어렵다면 통증조절 및 염증감소를 위한 약물·주사치료를 병행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온찜질이나 더운물 목욕·샤워를 자주 하면 통증감소 및 관절운동에 도움이 된다. 적극적으로 치료를 했는데도 6개월 이상 관절운동 제한이 심하고 동통이 심하면 수술을 고려한다.

어깨질환 통증은 원인과 질환이 달라도 증상이 비슷해 다른 질환으로 오인하기 쉽다. 어깨를 감싸고 있는 4개의 힘줄인 회전근개가 파열돼도 비슷한 통증을 느낀다. 약해진 힘줄이 어깨뼈에 반복적으로 부딪혀 파열되는 질환으로 과도한 어깨 사용, 힘줄의 퇴행성 변화가 원인이다. 파열된 근육은 최대한 쓰지 말아야 한다. 회전근개 병변에 의한 염증으로 오십견 증상을 보일 수 있는데 잘못되거나 과한 운동은 어깨 힘줄·관절 손상을 더욱 부추길 수 있으므로 치료 전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이효진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

이효진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