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동항성당' 문화재등록 추진한다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활성화 확산사업 공모 신청

동항성당, 피란민 구호·교육·의료 활동 담당

부산시가 우암동 동항성당에 대한 문화재 등록을 신청했다./사진제공=부산시부산시가 우암동 동항성당에 대한 문화재 등록을 신청했다./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가 6·25전쟁 후 피란민 구호, 교육, 의료 활동 담당했던 동항성당의 문화재 등록을 추진한다.

부산시는 최근 문화재청의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활성화 확산사업’으로 우암동 피란생활 역사문화마을 조성사업을 계획하고 우암동 동항성당에 대한 문화재등록을 신청했다고 8일 밝혔다.


우암동 동항성당은 1954년 천막성당으로 문을 연 뒤 1957년 성탄절에 우암동에 건립돼 한국전쟁 이후 지역 빈민 사업과 사회복지 사업에 큰 역할을 해 왔다. ‘우암동 판잣촌의 성자’로 불리는 하 안토니오 몬시뇰 신부는 피난민 구호와 교육·의료사업 등 58년 동안 부산에서 헌신하다 2017년 94세를 일기로 선종했다.

관련기사



특히 하 신부는 길거리를 배회하던 소년·소녀 장애아 등을 사제관에서 직접 키우기도 했다. 또 1965년 한독여자실업학교(부산문화여고)를 세웠고 학교가 해운대로 옮겨가자 1977년에는 그 자리에 조산원을 설립해 신생아 2만6,000여 명의 출산을 도왔다. 이 같은 선행으로 2005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하 신부를 가톨릭교회 명예 고위직인 몬시뇰에 임명했다.

부산시는 국·시비 200억 원을 투입해 피란민들의 삶의 애환을 고스란히 전달할 수 있는 우암동 소막마을의 지역자산을 피란생활과 주거, 피란생활과 경제, 피란생활과 종교 등 3개 주제로 이뤄진 체험형 필드 뮤지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피란시절을 지나오면서 서민들의 삶의 터전으로 자리 잡은 우암동은 도시의 새로운 유행을 선도하는 지역은 아니지만 서민들의 애닯은 삶의 흔적을 가지고 있어 부산의 정체성이 있는 곳”이라며 “부산성(釜山性)이 새로운 도시발전의 모멘텀이 될 것으로 보고 공모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