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글로벌 인사이드] 중동·서방 셈법 엇갈려…리비아 해법도 꼬인다

■내전 장기화 우려

이슬람주의자로 구성된 통합정부

터키·카타르·수단 등 지지하지만

사우디·UAE 등 '왕정 전복' 걱정

LNA 도우며 리비아 분열 부추겨

佛 등 "난민 막아라" 군벌 지원

美도 하프타르와 '연결고리' 유지




리비아 동부의 거대 군벌인 리비아국민군(LNA)과 통합정부군(GNI) 간 내전은 리비아를 양분해온 군벌 실세인 칼리파 하프타르 LNA 최고사령관의 수도 장악 욕심에서 촉발됐지만, 여기에 주변국들의 이해관계까지 얽히면서 사태가 갈수록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치·종교적 갈등에 기반한 주변 아랍국들과 겉으로는 침묵을 지키지만 정치·경제적 이유로 물밑에서 개입하고 있는 서방세계가 리비아 사태를 키웠다는 주장도 나온다. 거대 군벌 수장의 권력욕과 리비아를 둘러싼 각국의 엇갈린 셈법 속에 리비아가 내전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7일(현지시간) BBC는 LNA가 트리폴리 외곽에서 GNI와 이에 연계된 민병대를 공습했으며 리비아 정부군도 ‘분노의 화산(Volcano of Rage)’으로 이름 붙인 반격작전을 시작하는 등 군사적 충돌이 격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엔이 민간인과 사상자 후송을 위해 2시간여의 휴전을 요청했지만 전투는 그치지 않고 있다. 이번 충돌로 사흘간 양측에서 최소 35명이 사망하고 다수가 부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리비아의 전황이 급격히 악화하면서 미국과 인도는 리비아 주둔병력 일부를 일시 철수시켰고 다국적 석유기업 직원들도 리비아를 속히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외신들은 리비아가 사실상 내전에 돌입한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이번 사태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각국의 이해관계가 리비아를 무대로 충돌하며 내전을 격화시키는 상황에 사태를 낙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다.


실제로 리비아와 국경을 맞댄 수단과 이집트는 물론 인근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터키 등은 상반된 이슬람주의 성향에 따라 리비아 사태의 외부 개입자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유엔이 지원하는 통합정부군 측은 터키·카타르·수단 주도의 무슬림형제단으로 대표되는 이슬람주의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반면 이집트·사우디·UAE 등은 이슬람원리주의에 반대하면서 반(反)이슬람주의를 내세우는 하프타르를 지원해왔다.

관련기사



최근 중동국가들을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무슬림형제단은 선거 등을 통한 민주적 절차에 따른 정부 구성을 지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UAE와 사우디 등 중동 지역을 통치하는 왕국 국가 입장에서는 자국이 지금까지 유지해온 정치적 질서를 전복시킬 수 있다는 두려움이 커졌고 이에 따라 하프타르를 지원하며 리비아를 분열시켜온 것이다. 이집트와 UAE는 전투기를 동원해 리비아 내 이슬람 무장단체를 공습하기도 했다. 하프타르 사령관은 트리폴리 진격 선언 직전 사우디를 방문해 살만 빈 압둘아지즈 국왕과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만나 협력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사우디와 터키를 양대 축으로 삼은 이슬람 수니파의 분열이 리비아에서 또 한번 폭발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서방국가들 역시 리비아를 둘러싸고 이해관계가 대립하고 있어 사태를 키울 잠재적 불안요소로 꼽힌다. 프랑스와 러시아의 경우 유럽 난민과 테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리비아를 지원해왔다. 리비아는 지리적으로 난민들이 유럽으로 향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난민을 막기 위해 하프타르 등 군벌에 상당한 무기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6년 헬기가 벵가지 인근에서 추락해 프랑스 특수부대원 3명이 사망하며 프랑스가 비밀리에 리비아에서 군사작전을 벌이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미국은 공식적으로 통합정부를 지지하지만 한쪽으로는 하프타르와도 연결고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사설에서 “미국이 하프타르의 끈을 잡고 있는 것은 리비아가 북아프리카의 최대 산유국이기 때문”이라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리비아의 석유 생산량이 미국 내 물가를 낮추는 데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하프타르 사령관이 리비아의 중요 석유시설을 확보한 뒤 생산량을 늘리기도 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