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국토안보장관 ‘트윗 경질’...불법이민 초강경 대응 예고

트럼프, “닐슨 국토안보부 장관 자리에서 떠날 것”

닐슨, 불법 이민 강경책 놓고 트럼프와 갈등

현지 언론, “물러나길 강요받았다”

커스텐 닐슨(오른쪽)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16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바라보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커스텐 닐슨(오른쪽) 미국 국토안보부 장관이 지난해 11월 16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바라보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커스텐 닐슨 국토안보부 장관의 사임을 전격 발표했다. 불법 이민 강경책을 놓고 대통령과 갈등을 빚어온 닐슨 장관이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초강경 이민 정책을 밀어붙일 것이란 해석이 우세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커스텐 닐슨 국토안보부 장관이 자신의 자리에서 떠난다. 그의 봉직에 감사를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케빈 맥앨리넌 세관국경보호국(CBP) 국장이 장관대행을 맡아 그녀의 공백을 메운다”고 덧붙였다.

닐슨 장관도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두 장 짜리 서한을 통해 사임 뜻을 밝혔다. 그녀는 “새로운 시대를 향한 국토안보 개혁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지금이 물러나기 적절한 시기라고 판단한다”면서 “차기 장관은 우리가 미국 국경을 완전히 지키지 못하도록 방해한 법을 고치는 데 있어 의회와 법원의 지지를 얻길 바란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 등 주요 외신들은 닐슨 장관의 사임이 비자발적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과 닐슨 장관의 비공개 회동 직후 그녀의 경질이 발표됐는데, 닐슨 장관은 회동 직전까지 그만둘 생각이 없었다는 것이다. AP통신도 “닐슨 장관이 경질될 줄 모르고 회의에 참석했다”며 그녀가 물러날 것을 강요받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지난 2017년 10월 임명된 닐슨 장관은 불법이민자 정책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어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불법이민자 유입을 막기 위한 강경책을 주문했으나, 닐슨 장관은 그의 요구가 이민법과 연방법원의 명령에 어긋난다며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닐슨 장관이 ‘캐러밴’으로 불리는 중미 출신 불법이민자들의 미국 입국 시도를 제대로 막지 못했다며 불만을 품었다. 지난해 가을 대규모 캐러밴 행렬이 미국과 멕시코 국경 사이에 도착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참모들에게 ‘닐슨 장관을 자르고 싶다’는 뜻을 전하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과 닐슨 장관의 갈등은 최근까지 이어졌다. 지난 5일 트럼프 대통령이 “이민과 관련해 우리나라가 더 강력한 방향으로 가길 원한다”며 론 비티엘로 신임 이민세관단속국(ICE) 국장 지명을 철회했을 때도 닐슨 장관은 이를 반대했다. 현지 언론들은 대통령과 이견을 좁히지 못했던 닐슨 장관이 경질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더 강력한 이민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존 켈리 전 백악관 비서실장이 올해 초 물러나면서 그의 최측근이었던 닐슨 장관이 힘을 잃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닐슨 장관은 켈리 전 실장이 트럼프 행정부 초대 국토안보부 장관이었을 때 장관 비서실장을 지냈고, 켈리가 백악관으로 옮길 때 백악관 비서실장으로 따라갈 정도로 그와 각별한 사이다. 뉴욕타임스(NYT)는 당시 닐슨 장관이 경험이 부족하다는 주변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켈리 전 실장이 그녀를 자신의 국토안보부 장관 후임으로 데려오기 위해 로비를 펼쳤다고 보도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국경안보 정통 관료인 맥앨리넌 국장을 장관 대행으로 지명하며 강력한 국경 정책을 집행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차기 장관 후보군으로는 켄 쿠치넬리 전 버지니아주 법무장관, 릭 페리 현 에너지부 장관, 크리스 코백 전 캔자스주 법무장관 등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