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김대형 신임 리츠협회장 "리츠 시장 활성화 위해 규제 완화 선행돼야"

국내 리츠, 부동산펀드 10분의 1 규모

"부동산 규제일변에 리츠 경쟁력 축소돼,

공모상장·해외 진출 위해 규제 최소화 필요"

9일 서울 강남구 한국리츠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김대형 신임 한국리츠협회장이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권혁준기자9일 서울 강남구 한국리츠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김대형 신임 한국리츠협회장이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권혁준기자



“국내 리츠 시장은 주식회사 수준의 각종 규제 탓이 뒤늦게 출발한 부동산펀드와 비교해 10분의 1 규모에 불과합니다. 가장 중요한 게 정부의 규제 완화이기 때문에 업계와 정부부처 중간에서 중재해 나가겠습니다”

지난 2일 제5대 한국리츠협회 회장으로 취임한 김대형 마스턴투자운용 대표이사는 취임 후 처음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리츠(REITs)의 성장에 발목 잡고 있는 규제를 완화해 업계의 선진화와 개방적 혁신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9일 한국리츠협회는 이날 서울 강남구 협회 회의실에서 미디어데이를 열고 시임 김 회장과 간담회를 열었다. 김 회장은 국내 리츠의 더딘 성장을 언급하며 해외 리츠 시장, 국내 부동산펀드와 비교했다.


국내 리츠 시장은 2001년부터 시작됐음에도 2018년 말까지 전세계 37개국에서 약 2,200조원 규모로 성장한 것에 비해 규모가 작은 게 현실이다. 미국은 226개 상장 리츠에서 1,171조원 이상, 일본도 62개 리츠가 상장돼 137조원 이상이 운영되지만 한국은 6개 상장 리츠가 7,000억원 규모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김 회장은 2005년 뒤늦게 등장한 부동산펀드의 성장세와 비교하며 정부의 규제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는 “금융위원회가 관리하는 부동산펀드(REF)는 올해 2월까지 순자산이 79조8,000억원까지 성장한 반면 국토부의 리츠는 13조7,000억원으로 5.8배 차로 벌어졌다”면서 “여기에 임대주택에 대한 LH나 서울시의 정책성 리츠를 빼면 리츠의 순자산은 7조8,000억원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토부가 도입하겠다는 리츠에 대한 신용평가제도에 대해서는 “소비자 보호를 위해 필요하긴 하지만 아직 시장조차 형성되지 않아 추가 규제는 중요도에서 한참 후순위”라고 선을 그었다. “대신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글로벌 시장과 같이 안전도, 수익율 등을 반영한 투자 스타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리츠의 대중화를 위해 김 회장은 무엇보다 규제 완화에 앞장 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부동산과 관련 돼 규제일변인 리츠가 글로벌 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업계의 의견을 반영한 부동산투자회사법 개정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면서 “국내에 99%가 몰린 리츠 상품을 국외 부동산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국내 유관 기관은 물론 선진국 리츠 단체와 교류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김 회장은 리츠 시장 활성화를 위해 공모 리츠의 세제 개편과 신탁형 리츠도 도입도 추진한다. 그는 “배당소득이 분리과세에서 제외돼 소액 투자 외에는 투자 유인이 없는 상황”이라며 “또한 주식회사형만이 아닌 신탁형 등 다양한 리츠를 도입해 보험사나 금융사 등이 더욱 리츠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리츠에 대형 건설사, 금융사 등 빅플레이어들이 진입 중”이라면서 “이들과 함꼐 리츠 산업을 키우이 위해서는 규제 완화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