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신재생 늘린다지만…태양광업체는 파산 걱정

웨이퍼업체 웅진에너지 폐업 수순

중국업체 '저가 공세'에 치이고

유럽기업들엔 기술 격차로 밀려

"정부 신재생 에너지 육성 정책

외국 기업에 잔치상 차려준 꼴"

2215A08 풍력



국내 단 하나 남은 웨이퍼 생산업체 웅진에너지는 폐업 수순을 밟고 있다. 대전공장과 구미공장의 가동률은 20% 수준까지 떨어졌고 생산 인력은 한창 때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다.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췄다고 평가받던 웅진에너지가 벼랑 끝으로 내몰리게 주된 이유는 비용 경쟁에서 중국을 당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잉곳과 웨이퍼의 생산원가 중 전기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최대 40%에 달한다. 헌데 중국 업체들이 우리나라의 30~40% 수준의 전기료를 등에 업고 저가 제품을 내놓으면서 국내 업체들의 입지는 쪼그라들고 있다. 국내 태양광 업계의 관계자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업체가 나가떨어지면 중국 등 살아남은 업체들을 중심으로 과점 체제가 형성될 것”이라며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태양전지)-태양광 모듈(패널)’로 이어지는 태양광 밸류 체인 중 하나라도 무너지면 도미노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가 오는 2040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최대 35%까지 늘리겠다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을 발표했지만 정작 국내 신재생 관련 기업들은 도산까지 걱정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외국 기업들 배만 불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태양광 산업의 위기감은 밸류체인 전반에 퍼져있다. 태양광발전의 ‘쌀’ 폴리실리콘 제조업체들은 공급 과잉으로 급락한 가격에 국내 사업 존폐까지 고민하고 있다. 시장 조사업체인 PV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초 1㎏당 17.8달러에 달했던 폴리실리콘 가격은 이달 8.5달러까지 떨어졌다. 폴리실리콘 업체들의 손익분기점(BEP)은 1㎏당 14달러 수준이다. 만들면 만들수록 손해가 쌓이는 구조지만 고정비 부담을 덜기 위해서 ‘울며 겨자먹기’로 공장을 돌리는 실정이다.

관련기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터라 시장에서 설자리를 찾지도 못하고 있다. 폴리실리콘 제조 원가의 40% 가량은 전기료가 차지하는 데 중국 등 경쟁국 업체는 지방정부의 보조금을 바탕으로 일반 업체 대비 절반 수준에 전기를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업체의 기술력이 높다고 해봐야 값싼 전기요금 덕분에 해외 경쟁사보다 가격 경쟁력이 20%정도 떨어지는 터라 시장에서 선택을 받기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정부 역시 이 같은 상황을 인지하고 있으나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웨이퍼나 폴리실리콘 제조업체가 어렵다는 걸 알고 있지만 그렇다고 국내 전기료를 내리기도 쉽지 않다”고 했다.

풍력 발전 시장 역시 외국 기업이 장악하고 있다. 2017년 말 국내에 설치된 풍력발전기는 537기, 설비 규모로 1139㎿에 달한다. 국산은 553㎿(282기)으로 절반 수준에 그친다. 외국 풍력발전 업체가 대량생산을 통해 국내 업체보다 제품 가격을 10~20% 낮추면서 국내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일단 외국 업체가 풍력 발전기를 도입하면 관련 기자재 공급 뿐 아니라 향후 20여년간 유지 보수 업무를 맡는다는 점도 문제다. 에너지 업계의 관계자는 “정부가 이런저런 대책을 내놓곤 있지만 국내 업체들이 외국기업들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게 할 실질적인 대책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