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밀키트 시장 뛰어든 CJ제일제당..."3년내 매출 1,000억"

셰프의 요리 키트 '쿡킷' 론칭

순두부찌개 등 일상 요리부터

스테이크 등 특별식 60종 달해

기존 밀키트 고정 메뉴 벗어나

제철 식재료 앞세워 시장 공략

2415A18 CJ 제일제당



CJ제일제당(097950)이 가정간편식(HMR)이 종착지인 밀키트 시장에 뛰어 들었다. 한식부터 태국식까지 60종에 달하는 메뉴를 준비했다. 식재료 공급과 배송에 있어 CJ그룹의 계열사와 시너지를 내며 3년 내 1,000억원 대 브랜드로 키우겠다고 선언했다.

23일 CJ제일제당은 중구 동호로 본사에서 ‘R&D TALK’ 행사를 열고 선보인 밀키트 브랜드는 집밥을 특별하게 만드는 셰프의 요리 키트를 콘셉트로 한 ‘쿡킷(COOKIT)’이다. 밀키트는 손질된 식재료와 소스, 레시피 등을 상자에 담아 바로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일종의 가정간편식(HMR)이다. CJ제일제당은 가정간편식 시장의 미래가 밀키트 시장에 있다고 보고 1년 반 정도 준비 기간을 가졌다. 김경연 CJ제일제당 온라인사업담당 상무는 “손질과 절단까지 다 완료된 쿡킷은 소비자들이 그저 즐겁게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한 요술 같은 키트”라면서 “집에서 요리를 하고 싶지만 메뉴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일명 ‘메뉴 고민형’ 소비자를 겨냥했다”고 말했다. 쿡킷은 온라인 전용 브랜드로 운영된다. 김 상무는 “향후 가정간편식 시장은 온라인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향후 5년 내 7,000억 원 수준으로 클 밀키트 시장에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60종에 달하는 풍부한 메뉴다. 그 동안 밀키트 성장이 더뎠던 이유 중 하나가 메뉴의 다변화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판단에서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기존 밀키트 시장에서 선보이는 고정 메뉴에서 벗어나기 위해 술 안주용, 홈파티용 등 상황에 맞는 메뉴를 개발했고 2년 내 내 200여 종의 메뉴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뉴는 순두부찌개와 같은 일상식과 스테이크 등 특별식을 5대 5의 비율로 구성했다. 오야꼬동, 팟타이 등 글로벌 메뉴는 약 40%를 차지한다. 2인분과 3인분, 순한 맛과 매운맛으로 카테고리를 나눈 점도 특징적이다. 모두 CJ제일제당의 식품연구소와 전문 셰프 부서인 푸드시너지와 협업해 개발했다. 월·수·금요일마다 신메뉴를 공개하고 소비자의 원활한 선택을 돕기 위해 한번에 선보이는 메뉴는 총 15종으로 제한한다.

관련기사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메뉴도 강점으로 내세웠다. 향긋한 봄나물로 만든 ‘멍게새싹비빔밥·쑥국’과 ‘두릅무침·두릅떡발비’ 등이 대표적이다. 김경연 CJ제일제당 온라인사업담당 상무는 “스타 셰프를 앞세워 홍보하기보다는 제철 식재료로 소비자들이 메뉴의 신선함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원재료의 신선함은 차별화된 포장 기술이 뒷받침한다. 야채의 호흡량에 따라 별도 포장을 하고 ‘숨쉬는 야채’ 포장까지 적용해 신선도 유지기한을 경쟁사 대비 2배 긴 6일로 늘렸다. 고기 특유의 잡내를 없애기 위해 가열을 거쳐 급랭 후 동결하는 ‘쿡칠(Cook-Chill)’ 기술을 이용했다.

쿡킷은 우선 온라인을 통해서만 판매된다. CJ제일제당의 식품 전용 온라인 쇼핑몰인 CJ온마트에 밀키트 전용관을 구축하고 서울·경기·인청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판매를 시작하며 오는 7월에는 쿡킷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한다. 이용자는 아침 7시까지 주문하면 다음날 아침 7까지 집 앞으로 배달받을 수 있다. 가격대는 2~3인분 기준 평균 2만원 대다.

CJ제일제당은 쿡킷의 식재료 공급을 위해 CJ프레시웨이와 새벽배송을 위해서는 CJ대한통운과 손을 잡았다. CJ대한통운은 쿡킷 새벽배송을 위한 전담팀도 마련했다. 전용 소스를 만들기 위해 논산공장에 전용 라인도 구축했다. 올 11월까지 논산에 자동화 설비를 갖춘 밀키트 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김 상무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독보적인 식품 R&D 역량과 노하우, HMR 사업 경쟁력, 셰프 레시피, 계열사 시너지 등을 총동원했다”며 “다양한 메뉴 운영과 최고의 맛 품질, 식문화 트렌드 기반 서비스 등을 앞세워 국내 밀키트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