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업체 다스가 신규 자금 수혈에 실패했다.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발행주식 수를 늘리는 한편 유상증자를 통해 외국계 투자자의 신규 자금을 받으려 했지만 주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해외 주요 지사가 막대한 손실을 내고 있고 지난해 말 기준 보유 현금이 13억원 뿐인 상황이라 현재 상태로는 연내 돌아올 이자비용도 처리하기 힘든 상황이다.
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다스는 이날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발행주식 수 한도를 늘리는 정관 변경을 의결했지만 부결됐다. 다스의 주주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은씨가 47.26%, 이 전 대통령 처남의 부인인 권영미씨가 23.6%, 이 전 대통령이 설립한 청계재단이 5.03%, 후원회 회장인 김창대씨가 4.2% 등 우호 지분만 80.09%다. 주총에서 주요 주주인 기획재정부(19.91%)가 반대표를 던졌다고 하더라도 우호 지분이 대다수인 상황에서 안건이 부결되기는 쉽지 않다. 다스 측은 25일까지만 해도 기재부 측에 유증 계획을 설명하며 자본 확충에 자신감을 보였으나 하루 만에 입장을 뒤집었다.
한 IB 업계 관계자는 “유증 계획이 이르게 공개되면서 주변 이목이 쏠리는 것을 부담스러워 해 주요 주주들이 일단 반대표를 던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다스 측은 “차기 임시 주총이나 향후 계획 등은 아직 정해진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른 시일 내에 자금 조달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현재 다스의 재무 상황은 그야말로 최악이다. 다스의 지난해 매출액은 7,852억원으로 전년 대비 7.6% 늘고 영업익은 75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494억원에 달하는 지분법 손실로 인해 45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여기에 지난해 통상임금 청구소송에서 패소하면서 146억원의 잡손실이 발생한 것도 악재였다. 2017년 말 28억원 수준이었던 현금은 2018년 13억원으로 바싹 말랐다. 지난해 다스는 단기 차입금 460억원 등으로 이자 비용을 38억원 냈다.
올해 역시 단기 차입금이 비슷한 상황이라면 보유하고 있는 현금으로 이자도 못 내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물론 올해 영업이 반등해 벌어들이는 돈으로 이자도 내고 원금도 갚으면 되지만 다스의 해외 법인들이 막대한 손실을 내고 있는 점에서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로 다스 중국 법인 중 하나인 절강대세만가기차좌의(유)는 185억원, 대세(북경)기차부건유한공사는 119억원의 당기 순손실을 봤다. 해외 법인 중 돈을 버는 곳은 인도 등 3곳 뿐이었다. 해외 법인 누적 당기순손실만 457억원이다.
다스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KEB하나은행(150억원), 우리은행(47억5,000만원), 씨티은행(60억원), 국민은행(47억원), 산업은행(40억원) 등 총 842억원의 단기 차입금을 보유하고 있다. 금융권에서 추가로 신규 자금 조달이 쉽지 않고 상환 압박까지 이어지면서 비상장사임에도 유증을 진행하려 한 만큼 앞으로 자금 조달 방향에 관심이 쏠린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다스가 제때 자금을 수혈하지 못할 경우 청산될 가능성도 있다”며 “정치적 이슈와 엮여 있는 기업인 만큼 주요 나서서 자금을 조달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