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대체 불가' 입증?...더 주목받는 서울 재건축

"3기 신도시, 서울 집값 못잡아"

'인서울이 답' 재건축 호가 상승

청담삼익 3억 올라 최고가 거래

국책硏 정책 평가 세미나에선

"정비사업 규제 완화해야" 지적




3기 신도시 발표 이후 서울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이 오히려 주목 받고 있다. 3기 신도시가 서울 집값을 잡는 데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확산 되면서 전문가들이 도심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용적률 상향 등 재개발·재건축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더 높이고 있다. 일선 현장에서도 일산과 파주 등의 사례를 보며 역시 ‘인 서울’ 외에는 답이 없다고 보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미래가치가 큰 일부 재건축 단지의 경우 매매가가 최고가를 기록하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심교언 건국대학교 교수는 “3기 신도시가 서울 강남권과 한강 변 등으로의 쏠림 현상을 막기는 역부족”이라며 “이들 지역에 대한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재건축·재개발을 통한 공급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현 정부 정책 평가 세미나서 나온 규제 완화 = 국책연구원인 국토연구원이 지난 28일 문재인 정부 주택정책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개최한 세미나에서 서울 도심의 주택 공급을 촉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달아 제기됐다. 이 세미나에서는 신도시 정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기조 발제자로 나선 서순탁 서울시립대 총장은 “문재인 정부 주택정책 2년은 주택 안정화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뒀지만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는 아직도 불안 요인이 상존한다”며 “현 정부가 주택문제 해결을 위해 신도시 개발 정책을 써왔는데 지금도 계속 유효한 것인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재건축·재개발 부분과 용적률 완화 문제가 금기시되는 측면도 있는데 (신도시가 아닌) 도시 내 주택 공급이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이상영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도심 정비사업을 통한 주택공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서울의 경우 최근 입주 물량이 적은 데다 기존의 재개발·재건축 멸실이 크게 늘고 있다”며 “서울 지역 내 주택공급을 촉진하기 위해 규제 완화, 용적률 인센티브 부여, 비주택의 주택용도 전환, 국공유지를 활용한 주택공급 등 물량 확보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부동산 114는 내년 서울 신규 입주 물량은 4만 가구 수준이지만 2021년 이후에는 재건축·재개발 지연으로 1~2 만 가구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인 서울이 답’ … 재건축 호가 쑥쑥=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3기 신도시 발표 후 재건축 단지 호가는 더 오르고 있다. 강남구 청담동의 삼익아파트는 이달 중순 전용 109㎡가 21억 4,500만 원에 거래돼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18억 3,000만 원에서 3억 원 이상 껑충 뛴 가격이다. 청담동의 L공인 대표는 “전에는 20억 원 아래로 떨어졌던 전용 109㎡가 강남 새 아파트가 귀해지면서 현재 호가가 23억~25억 원까지 올랐다”고 말했다.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 전용 121㎡도 지난해 거래가 없다가 이달 1억 원 이상 오른 25억 9,000만 원에 신고가 매매됐다. 대치 은마가 지난달부터 급매 소진 후 호가가 상승하는 가운데 옆 단지인 대치 선경1차 전용 127㎡도 1월에 이어 최고가 28억 원에 실거래됐다.

철거 중인 재건축 단지에서도 조건을 맞춘 조합원 물량이 고가에 거래됐다. 서초구 반포동의 경남아파트 전용 97㎡는 이달 초 지난해 8월(22억 원) 전고가 보다 높은 22억 2,800만 원에 거래됐다. 강동구 둔촌주공 4단지는 5월만 14건 거래돼 거래량이 늘었으며, 전용 99㎡는 5월 말 17억 9,000만 원에 최고가로 손바뀜했다. 착공 지연으로 일시적인 거래 가능 매물이 늘어난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도 지난달 28일 이후 현재까지 14건 거래됐다.

통계를 보면 재건축 단지가 많은 자치구를 위주로 거래량이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8일 현재까지 서울 아파트는 2,892건 거래돼 연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강남구는 4월 140건에서 5월 206건으로 거래량이 늘었다. 서초구도 4월 69건에서 5월 현재 119건으로, 송파구 159건에서 247건, 강동구 94건에서 147건, 양천구 134건에서 153건으로 모두 올해 최다 거래를 기록 중이다.

한동훈·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