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 ‘쌀맥주’출시…쌀 소비 확대 기여

농촌진흥청은 맥주의 주원료로 사용하던 외국산 맥아 대신 우리 쌀 ‘설갱’ 품종 40%를 넣어 만든 쌀 맥주가 이달 출시한다고 4일 밝혔다.

농진청은 출시를 앞두고 선호도 조사 결과 ‘풍미가 깊고 부드러우며 깔끔해 가장 맛있다’는 평을 받았다.


이번에 출시한 쌀 맥주는 우리 품종 쌀을 30∼40% 넣은 것으로 서울벤처대학교대학원, 산업체(바네하임, 국순당)와 공동 연구를 통해 제품화했다.

농진청은 쌀맥주 제품화를 위해 우선 우리 쌀 품종을 선발하고, 전분의 당화율을 높이는 공정을 확립했다.


원료로는 ‘설갱’, ‘한가루’ 등 연질미와 ‘도담쌀’, ‘큰품’, ‘흑진주’ 등 기능성 품종을 선정했다. 이 중 ‘설갱’과 ‘도담쌀’ 은 산업체와 지역 농가가 계약 재배를 통해 쌀 맥주를 생산하고 있다. 또 쌀의 당화를 돕는 액화 과정을 추가해 고유의 향과 부드러움을 더해 맥주 본래의 맛을 살렸다.

관련기사



이렇게 개발한 우리 쌀 맥주는 차별화된 맛과 품질로 출시 전부터 국내외 소비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우리 품종 ‘도담쌀’ 30%를 넣은 맥주는 세계 3대 맥주대회로 꼽히는 ‘호주국제맥주대회’에서 올해 은메달을 수상했다. 쌀 맥주 원료를 우리 쌀로 대체할 경우 쌀 소비 증가는 물론 농가의 소득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농진청 관계자는 설명했다.

지난해 기준 국내 수제 맥주 시장 규모는 633억 원에 이른다. 최근 3년간 41% 성장했다. 연간 국내 시장에서 쓰이는 맥아는 약 5,000톤인데, 이를 우리 쌀 40%로 대체하면 2,000톤가량의 소비 효과가 예상된다.

김두호 농진청 국립식량과학원장은 “품질 좋은 맥주 전용 쌀을 생산하기 위해 산업체와 농가의 계약 재배 확대로 국산 원료 100%의 ‘순 한국형 맥주’를 개발함으로써 우리 맥주의 경쟁력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