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상수지마저 ‘마이너스’…7년 만에 적자전환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7년만에 적자전환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9년 4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4월 경상수지는 6억 6,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가 적자를 기록한 것은 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가 한창이던 2012년 4월 이후 처음이다.


상품수지의 흑자 폭 감소가 경상수지 적자를 불렀다.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한 탓에 경상수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 흑자폭이 대폭 축소된 탓이다.

관련기사



줄어든 게 4월 경상수지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이다. 수출 감소로 상품수지 흑자가 줄어든 것이다. 수출은 483억달러로 전년 같은 달보다 6.2% 감소했다. 한은은 “반도체 단가 하락, 세계 교역량이 부진”이 수출 감소가 이어진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수입은 426억3,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14억3,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폭은 2016년 12월 이후 2년4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서비스수지 구성항목 가운데 여행·운송수지가 개선된 덕이다. 중국인·일본인을 중심으로 한 입국자(관광객) 증가세가 지속, 여행수입(17억달러)은 2014년 11월 이후 4년5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서비스수지 개선에도 본원소득수지가 43억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면서 결국 경상수지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의 배당시즌과 겹친 결과다. 배당소득수지는 49억9,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