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학교 급식 납품업체, 유통기한 50일 지난 고기 폐기않고 보관

경기도, 학교급식 납품업체 불법행위 11곳 적발

유통기한이 한 달 이상 지난 고기를 폐기하지 않고 보관한 학교 급식 납품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경기도청 특별사법경찰단(이하 도특사경)은 지난달 8∼17일까지 지난해 학교급식 수사에 적발된 31개 업체를 포함한 총 51개소에 대한 학교급식 납품업체를 수사한 결과 11개소에서 15건의 위반행위를 적발했다고 5일 밝혔다.


성남에 있는 A업체는 유통기한이 50일 이상 지난 삼겹살과 갈비 18.5kg을 아무런 표시 없이 냉동창고에 정상제품과 함께 보관하다 덜미가 잡혔다. 수원에 있는 B업체는 식자재 작업 공간을 식품제조가공업 등록을 하지 않은 C씨에게 불법 임대했다. C씨는 이곳에서 썩은 마늘을 갈아 다진 마늘로 제조한 후 음식점 등에 판매하다 적발됐다.

또 다른 수원의 D업체는 학교에 냉장으로 납품했던 삼겹살이 반품되자 냉동으로 보관하다 수사망에 걸렸다. 반품된 냉장고기는 냉장상태로 보관하거나 폐기처분을 해야 한다.

식육포장업을 하는 F업체는 학교급식납품업체인 용인시 소재 G업체와 창고를 공동 사용하면서 냉동 보관해야 하는 소갈비 671kg을 판매목적으로 냉장 보관하다 적발됐다. 이 업체는 식육제품의 생산과 판매 이력을 작성해야 하는 생산 작업 기록도 전혀 작성하지 않았다.


시흥시의 E업체는 학교급식에 납품할 농산물을 지저분한 냉장창고에 보관하고, 조리도구를 더러운 벽에 걸어두고 사용하는 등 비위생적으로 관리하다가 단속에 걸렸다.

관련기사



도 특사경은 적발한 15건 중 유통기한을 위반한 A업체 등 4개 업체를 형사입건하고 학교납품업체로 지정받은 업체가 아닌데도 대리생산, 위장납품 등 불공정행위를 한 7개 업체에 대해서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입찰제한 조치를 요구하기로 했다.

이번 수사는 이재명 경기도지사 지시에 따른 것이다.

이 지사는 지난해 12월 학교급식재료 납품업체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대책회의를 열고 “작은 이익을 위해 아이들 먹거리로 장난치면 바로 문 닫게 해야 한다”며 학교급식 납품업체 불법행위에 대한 근절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도 특사경은 지난해 적발된 31개 업체에 대한 피드백 점검을 하고 신규 의심업체 20개 업체를 선별해 수사했다.

지난해 특사경에 적발된 학교급식 제조·납품업체 31개소에 대한 점검 결과 모두 적발된 사항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병우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장은 “학생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불량 학교급식 제조·납품업체에 대해서는 엄정히 처벌하겠다”며 “학교급식으로 인해 학부모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불법업체에 대해서는 지속해서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