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박근혜때 보수 불안했다"

이문열 전화 인터뷰..." 黃대표 구체제안 없어"

"朴정부 문화융성정책 엉뚱"

黃대표와 재차 회동 시사도

황교안(왼쪽)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 8일 경기도 이천 문학사숙 부악문원에서 소설가 이문열과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황교안(왼쪽)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 8일 경기도 이천 문학사숙 부악문원에서 소설가 이문열과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표적 보수논객으로 꼽히는 소설가 이문열이 8일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를 만나 “(박근혜 정부 시절) 보수가 불안해 보였다”는 솔직한 심정을 내비쳤다. 이는 당시 보수세력이 “괜찮았다”는 황 대표의 인식에 대한 반론이자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는 우회적 조언으로 풀이된다.


이 작가는 9일 서울경제신문과 통화에서 “(황 대표가 지닌) 지난 정권의 소회와 나 같은 사람의 소회가 다를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총리로 지난 정권에 몸담았던 황 대표와 주변인으로 바라본 이 작가의 시각이 다를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작가는 그 예로 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문화융성 정책을 꼽았다. 이 작가는 “황 대표는 당시 문화융성 정책을 신선하게 느낀 듯했다”며 “반면 (나는) 무언가 어울리지 않고 튀는 엉뚱함이 있다고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황 대표는) ‘괜찮았는데, 모든 걸 잃고, (위기에) 몰렸는가’라는 여운을 갖고 있었다”며 “반면 (나는) 엉뚱하고 생뚱맞고 오히려 불안하게 보였다고 솔직히 이야기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 작가는 “(보수 통합, 진정한 보수 등 정치 관련) 대화는 피상적일 수밖에 없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자제했다. 또 공천위원 등 한국당의 제안이 없었느냐는 질문에는 “구체론에 대해서는 들어가지 않았다”며 제의가 없었다고 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한국당이 조만간 비상설기구인 ‘조직강화특별위원회’를 열고 당협위원장 선출 등 조직 변화를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당이 앞서 이 작가에게 조강특위 참여를 제안했다가 불발된 바 있어 황 대표가 재차 요청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 바 있다. 다만 황 대표와 첫 만남을 ‘상견례’에 비유하며 재차 회동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작가는 “모르는 일을 알게 됐다는 정도로 생각한다”면서도 “나중에 만나는 것도 (지켜) 봐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