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포스코, 인적성검사에 기업상식 포함…면접때 애사심 어필하라

[머니+ 10대그룹 채용트렌드]

면접은 1·2차 나눠 1박 2일간 합숙

인문사회·이공계 구분해 채용 진행

그룹 계열사 간 중복지원은 불가능




자산총액 기준 재계 서열 6위인 포스코그룹은 지난 2000년 정부가 지분을 완전 매각하며 민영화됐지만 여전히 ‘국민기업’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 있다. 포스코는 그룹 계열사 간 중복 지원이 불가능하고 최종 합격자는 3개월 신입 교육기간 동안 계약직 신분이며, 수료 후 정규직으로 전환된다. 계열사별 학점과 어학성적의 기준도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특히 인적성검사에 기업상식 항목을 포함하는 등 기업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크게 평가한다. 진학사의 취업정보사이트 캐치(CATCH)의 도움을 받아 포스코그룹 주요 계열사의 채용 트렌드를 알아본다.

포스코그룹의 인적성검사 ‘PAT’는 적성검사 120분항을 85분간 풀고 인성검사 375문항을 50분 동안 풀어야 한다. 언어, 수리, 공간도식, 상식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문항별 난이도 차가 있어 짧은 시간안에 쉬운 문제 위주로 가능한 많은 문제를 정확히 풀어내야 한다. 상식영역에서는 포스코 관련 상식 문제를 포함한다. 면접은 1박 2일간 합숙면접을 진행하며, 1·2차로 나뉘어 실시한다. 1차 면접은 직무 적합성 면접, 토론면접, 프리젠테이션(PT) 면접으로 구성된다. 2차 면접은 다대다 형태의 임원면접으로 진행되며 지원자의 인성, 가치관, 역량에 관한 질문이 주어진다. 김준석 진학사 캐치본부장은 “타 기업들은 인적성에 기업상식을 없애는 추세지만 포스코는 굳건히 유지하고 있는 만큼 회사에 대한 애정을 중시하는 것 같다”며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도 회사와 관련지어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대표 계열사인 포스코(POSCO)는 크게 이공계, 인문사회계 분야로 구분하여 채용을 진행한다. 이공계에는 생산기술, 설비기술, 공정물류, 환경·안전 에너지 직무가 있으며, 인문사회계에는 마케팅, 구매, 재무, 경영지원 직무가 있다. 생산기술은 제선, 제강, 압연, 품질로 사업이 구분되어 있으며, 각 부문의 생산성 향상을 담당한다. 설비기술은 기계, 전기·전자, 토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비의 최적 운영을 담당한다. 공정물류는 최적화된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제철소 각 공정을 컨트롤하며, 환경·안전 에너지는 선진화된 안전·보건·방재 통합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장 위험 요소를 사전 제거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포스코는 지원할 때 대학교 성적과 어학 점수의 하한선이 있다. 성적은 최종학교 평균 성적 100점 만점 환산에 70점 이상이어야 하며, 어학 점수는 이공계는 토익스피킹 110점 또는 오픽 IL이상, 인문사회계는 토익스피킹 150점, 오픽 IM3 이상이어야 한다.

관련기사



포스코대우에서 사명이 변경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제무역과 해외자원 개발 사업을 담당한다. 일반적으로 국내외무역·내수영업, 프로젝트개발, 자원개발, 경영지원 직무를 채용하며, 자원개발부문은 미얀마를 비롯하여 페루, 오만, 베트남 등 전세계를 무대로 활동한다. 상반기 공채에서는 국내외영업·경영지원 분야의 해외영업, 국내영업, 프로젝트개발, 경영지원 직무를 모집했으며, 자원개발 분야는 자원탐사, 탄소배출권 사업 개발, 미얀마 가스전 생산운영 직무를 모집했다. 영어점수 하한선이 토익스피킹 7급 또는 오픽 IH로 높은 편이며 제2외국어 상급자를 우대한다. 자원개발 직무에 한해 지질, 지구물리, 자원·기계·화학공학 등 유관전공이 필수적이며, 석사학위 보유자를 우대한다.

포스코건설은 크게 기술계, 사무계로 구분해 채용한다. 기술계는 기계, 전기, 토목, 건축, 조경으로 나뉘며 사무계는 영업, 재무, 구매, 인사관리, 재무관리 등이 있다. 지원 전공은 모두 무관이지만 모집분야 관련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한다. 국내외 다양한 사업장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제2외국어 우수자도 우대한다.

포스코켐텍에서 사명을 바꾼 포스코케미칼은 제철소에 들어가는 내화물을 제조하고 판매하며, 리튬 2차전지를 생산하고 있다. 채용직무로는 일반적으로 경영지원, 기획·재무, 영업·마케팅, 생산관리, 정비·공사, 연구개발 등이 있다. 올 상반기에는 인문사회계에서 경영지원, 구매, 경영기획 직무를, 이공계에서 영업, 품질관리, 환경관리, 엔지니어, 연구원 등을 모집했다. 연구원은 석사학위 이상이 필수다. 소프트웨어 개발, 정보처리 및 정보통신서비스업 등을 담당하는 포스코ICT는 스마트팩토리, 스마트 정보기술(IT), 에너지, 환경, 교통 등의 분야에서 사원을 뽑는다. 가장 최근 실시한 신입사원 공채는 지난해 하반기 채용이다. 합격자는 6개월의 인턴기간 동안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합격자에 한해 신입사원으로 입사하게 된다.
도움=진학사 캐치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