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5G 마케팅 '휴전국면'...이통사 공시지원금 잇단 축소

SKT·KT 인하 이어 LGU+도 유력

'갤노트10' 출시 대비 힘절약 나서

5세대 이동통신서비스(5G) 고객을 잡기 위한 이동통신사간 출혈경쟁이 진정되며 잠시 휴전 국면이 조성되고 있다. SK텔레콤(SKT(030200))에 이어 KT도 5G 스마트폰 구매고객에 대한 공시지원금을 줄였다.

23일 이통업계에 따르면 KT는 지난 22일 LG전자 5G 스마트폰 ‘V50 씽큐’의 공시지원금을 기존 요금제별 40만~60만원에서 30만~55만원으로 한 달 만에 내렸다. 최고 78만원의 삼성전자 ‘갤럭시S10 5G’ 공시지원금은 그대로다. SKT가 지난 19일 ‘갤럭시S10 5G’와 ‘LG V50 씽큐’ 공시지원금을 일제히 하향 조정하자 KT도 동참한 것으로 풀이된다. SKT는 ‘갤럭시S10 5G’ 지원금을 기존 42만5,000~63만원에서 29만5,000~51만4,000원으로, ‘V50 씽큐’는 47만3,000~59만8,000원에서 29만5,000~51만4,000원으로 각각 낮췄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부터 ‘갤럭시S10 5G’에 최고 76만5,000원, ‘V50 씽큐’에 57만원의 공시지원금을 책정한 뒤 정책을 유지하고 있지만 3사 중 두 곳이 인하를 결정한 만큼 흐름을 따를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5G 시장을 놓고 초반부터 과열경쟁 양상을 보였던 이통사들이 숨 고르기에 나선 이유는 하반기 새 5G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 10’ 출시를 앞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신제품이 나오면 그간 대기 수요와 맞물려 스마트폰 교체가 대거 일어나는 만큼 마케팅 자금 여력을 모아두기 위해 일시 휴전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실제 5G 공짜폰과 현금을 되돌려주는 ‘페이백’이 등장한 것도 지난달 ‘V50 씽큐’ 출시 즈음이었다.

다만 공시지원금이 줄었다고 해도 물밑에서의 힘겨루기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에게 주어지는 대리점 수수료(리베이트)같은 불법보조금을 통해 게릴라성으로 음성적인 경쟁이 간헐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휴대폰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시지원금이 줄어든 만큼 불법보조금을 더 줄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시장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